매일신문

사설-[渭川궐기]는 대구생존 절규

21일 대구두류운동장에서 열린 위천국가산업단지 조기지정 촉구 범시민 궐기대회는 위천문제가지금까지의 관(官)주도에서 민간차원의 시민운동양상으로 확산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위천국가산업단지 지정문제는 사실상 국가정책차원에서 그 필요성이 인정되고 그에 부수된 수질오염문제는 환경부와 대구시의 보완대책을 감안, 정부가 애당초 합리적인 절차에 의해 지정했더라면 별문제 없이 무사히 지나칠수 있는 국가정책사안이었다. 그런데 이 문제를 두고 정부가 이런저런핑계를 대면서 어정쩡한 태도를 보이는 바람에 정치권이 개입되고 급기야는 부산쪽에서 수질오염문제를 강력하게 제기하고부터 꼬이기 시작한게 그간의 경위였다.

따라서 이 문제를 이같이 시민운동차원으로까지 확산시키면서 대구.부산간의 지역감정대립양상으로까지 몰고온 1차책임은 정부당국에 있음을 지적하지 않을수 없다.

연말까지는 어떤 형태로든 결정을 하겠다는게 정부여당의 최종방침이지만 이방침도 대구시민들에게는 신빙성있게 보이지 않았기에 결국 범시민궐기대회라는 형식으로 대구시민들의 결집된 의사표현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날 모인 시민들의 규모가 수만명 이라고 하지만 2백50만 대구시민대부분의 내심은 이 대회의 근본취지에 전적인 동의를 하고 있음을 정부당국은 직시해야한다. 따라서 이번대회를 주관한 범시민대책위는 궐기대회에 이어 후속조치로 1백만명 서명운동을 이달말까지 지속, 이결과와 함께 위천국가산업단지의 조성당위성을 중앙관계기관은 물론 부산.경남등 전국에 우송하면서 앞으로의 구체적 추진방향을 논의하는등 지속적인 시민운동으로 전개해나갈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 운동은 정부당국의 대응여하에 따라 어떤 방향으로 확산될지 현단계로선 예측할수 없는 폭발력 을 가지고 있음도 정부당국자는 알아야 할것이다.사실 그동안 대구시민들은 정부당국의 이성적인 결정이 내려지길 믿고 언행을 자제해왔다. 심지어 부산의회관계자.시민단체등이 수십차례에 걸쳐 대구를 방문, 여러형태의 항의성시위를 가졌지만 대구시민들은 이성적으로 대처, 인내를 해온것도 사실이다.

그렇지만 끝내 정부여당측은 내년대선(大選)과의 연계움직임을 보이며 대구시의 공단조성합리성을 무시하는 태도에 인내에 한계를 느낀 대구시민들은 일체의 정치색이나 지역감정을 억누른, 순수한 시민운동으로 행동화한 것이다. 이건 그야말로 대구시민 입장에선 자연발생적인 생존을 위한 전규호 자구책의 당연한 귀결인 셈이다. 그런데 신한국당이 집회참가단체원등에 유.무형의 압력을 행사한것은 시대착오적인 행태로 유감이 아닐수 없다. 더군다나 이날 집회에서 지역출신 여당 국회의원이 현정권전복운동 운운(云云)의 발언을 한건 이대회의 순수성은 물론 대구시민들에 대한 배신행위로의원자질을 의심케하는 비이성적인 행동이 아닐수 없다. 어쨋든 이제 위천문제는 시민운동으로 탈바꿈, 일파만파의 파장을 일으킬 조짐임을 직시, 정부의 조속한 결정만이 그해결책으로 남겨졌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