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회의 김대중(金大中)총재의 전당대회후 내각제 논의 발언에 대해 자민련이 발끈하고 나서는등 DJP공조에 이상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자민련 김용환(金龍煥)사무총장은 20일 속리산 유스타운에서 열린 서울, 경기, 강원, 충남지역 당원연수회에서 "내각제를 전당대회에서 당원들의 동의하에 공식채택, 국민에게 공포해야지 후보에게 일임해 단일화의 카드로 사용하려 하는 것은 올바른 접근방법이 아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18일과 19일, 대구를 방문한 국민회의 김대중총재가 내각제는 전당대회후 공론화할 수 있다고 발언한데 대해 정면으로 반박하는 것으로 양당공조에 이상기류가 감지되는 대목이다. 특히 지난해목동회동이후 김대중총재와 상당한 교감을 가진바 있는 김총장이 이같이 발언한 데 대해서는 김총장 개인의 발언이 아니라 당내 조율을 거친 것이라는 데서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심지어 김총장은 이날 연설에서 "내각제는 절대권력의 폐해를 시정하려는 목적 그자체이지 집권전략이나 수단으로 삼아서는 안된다"며 DJ에 대해 노골적인 반감을 표시했다.
즉 자민련 입장에서는 국민회의가 전당대회를 통해 내각제를 당론으로 결정하지 않을 경우 후보단일화 논의에서도 발을 뺄 수 있다는 신호탄을 보낸 것이다. 그렇지 않아도 국민회의측이 내각제를 받아 들일 경우 야권의 단일후보는 DJ라는 인식이 깔려있는 마당에 DJ의 이같은 태도변화는 자민련에 국민회의를 공격할 수 있는 호재를 제공하고 있다.
이날 같은 자리에서 김종필(金鍾泌)총재도 DJ의 태도변화에 상당한 반감을 표시했다. 김총재는 "면서기도 해 본 일이 없는 사람이 권력을 잡으면 나라를 망쳐놓게 된다"며 "우리가 피땀흘려 일할 때 삽질 한번 안해본 사람이 집권하면 돈벌기 어려운 줄 모르고 대형사고를 불러 일으키게 된다"고 말했다. 듣기에 따라서는 김영삼대통령보다 김대중총재를 겨냥해 노골적으로 불만을 표시한것이나 마찬가지다.
사태가 이쯤되자 그동안 '콘크리트 공조' 운운하면서 공조를 과시해 온 양당이 내각제를 빌미로일찌감치 파열음을 내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李相坤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