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침체로 지난 2월중 실업률이 3%%대로 높아지면서 3년만에 최고수준을 보였다.또 제조업가동률이 70%%대의 낮은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소비와 투자활동도 급격히위축되고 있다.
30일 통계청이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 2월중 실업률은 3.2%%로 전월보다 0.6%%포인트 증가하면서 지난 94년2월이후 3년만에 가장 높았다.
또 계절조정실업률은 0.2%%포인트 증가한 2.6%%로 지난 94년4월이후 2년10개월만에 최고수준으로 올라섰다.
지난 2월중 경제활동에 참가하고 있는 경제활동인구는 작년동월보다 60만8천명(3.0%%)이 증가했으나 취업자는 42만4천명(2.1%%)이 늘어나는데 그쳤다.
이에따라 실업자는 66만2천명에 달해 작년동월보다 18만6천명, 올들어 18만3천명이 각각 증가했다.
실업률이 이처럼 상승한 것은 취업을 희망하는 사람은 늘어난 반면에 경기침체로 기업들이 신규채용을 축소하는 등 일자리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실업자는 특히 고졸이상 고학력자와 적극적인 취업전선에 나서고 있는 여성의 증가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지난 2월중 고졸이상 고학력 실업률은 4.0%%로 작년동월의 2.8%%에 비해 무려 1.2%%포인트나상승했으며 여성실업률은 2.0%%에서 3.0%%로 1.0%%포인트 높아졌다.
한편 지난 2월중 산업생산은 6.2%%가 증가, 작년동월의 8.1%%에 비해 크게 떨어졌으며 특히 경공업생산은 6.9%%가 감소하면서 지난 93년5월 7.3%% 줄어든 이후 감소폭이 가장 컸다.또 제조업평균가동률은 79.7%%로 전월의 76.9%%이래 2개월 연속 70%%대의 저조한 수준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선박, 석유정제업 등의 설비증설, 반도체의 감산 등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그러나 재고증가율은 13.4%%로 지난 95년 11월의 12.7%%이후 가장 낮았으며 이는 경기저점이다가왔음을 시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도소매판매는 작년동월에 비해 3.3%% 증가하는데 그쳐 지난 1월의 1.4%%를 제외하고는 지난85년6월의 3.1%%이후 최저수준을 나타냈다.
또 내수용소비재출하는 0.9%%가 감소했으며 국내기계수주는 5.6%%, 기계류 수입액은 3.0%% 각각 감소했다.
그러나 국내건설수주는 지하철 및 주택부문의 증가와 반도체, 전자업종에서의 대규모 수주로39.9%% 증가하는 호조를 보였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