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인터뷰-이종화 대구시 복지정책과장

장애인담당 공무원들도 어렵기는 마찬가지다. 턱없이 부족한 예산과 정확한 장애 인구조차 파악되지 않은게 현실.

"실태를 조사하는 게 시급합니다. 이같은 복지조사를 해야 최소 예산 최대 효과의 장애인 정책을펼 수 있습니다"

대구시청 이종화(李宗和.48) 복지정책과장은 '베푸는 복지'를 '함께하는 복지'로 바꾸는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애인 생계문제는 필요조건일 뿐 교육문제에 폭넓은 투자가 이어져야한다는 입장.

"중증 재가장애인들의 생계 유지에 복지 정책의 중심이 있어서는 안됩니다. 장애인들이 사회구성원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전문교육, 직업 및 재활교육이 절실합니다" 맹인, 농아, 정신지체 장애인들을 위한 복지관 신설이 시급한 것도 이 때문이다.

복지정책의 현주소를 옮기려는 복지담당 공무원의 꿈은 언제 쯤 이뤄질까. 여전히 '밥줄'을 해결하지 못해 이곳저곳에서 동정의 손길을 기다리는 장애인들은 이과장의 소망이 먼 일로만 느껴진다.

〈全桂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