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12월대선-대구 경북 동향

한보사건과 대선자금의 어둡고 긴 터널에도 불구하고 정치권의 대선레이스는 갈수록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 그러나 대선때만 되면 으레 등장하는 것은 'TK변수'다. 이 지역표가 한군데로 뭉칠지 아니면 과거와 달리 분산될지에 대해 중앙정가는 예의주시하고 있다.

대구경북지역민들이 이번 대선에서 어떤 선택을 할지 아직은 판단하기 이르다. 정치상황도 다소유동적이고 현재 여야 대선후보들도 확정되지 않았다. 다만 여론조사기관들에 따르면 이전처럼특정후보에 대한 몰표는 어렵지 않겠느냐는 분석들이다.

국민회의 김대중(金大中)총재도 지난 대선때보다 조금은 나을 것이고 자민련 김종필(金鍾泌)총재도 일정한 표가 갈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후보단일화가 성사되면 어느쪽이냐에 따라 달라지겠지만 어쨌든 무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리고 지금은 반YS, 반신한국당 기류가 강하지만 결국 신한국당후보가 그래도 적지 않은 표를획득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이수성고문이 대선후보로 결정되면 응집력이 크겠지만 이회창(李會昌)대표와 박찬종(朴燦鍾)고문도 만만찮은 지지를 얻을 것으로 짐작된다.최근 여론조사결과로는 박찬종고문과 이회창대표가 여전히 우위를 점하고 있고 일정 격차를 두고김종필총재와 이수성(李壽成)고문이 뒤따르고 있으며 그 밑에 김대중총재가 위치하고 있다.역시 최대 관심사항은 여권의 경선전이다. 대구경북지역은 여권의 대선주자중 이회창대표와 이수성고문, 그리고 박찬종고문 등 3인에 대해선 호의적인 편이다.

그렇다면 이들중 누가 대망의 여권 대선후보자리를 거머쥘 것인가. 지금 시점에서는 이대표가 유리한 것으로 정가는 분석하지만 경선 결선투표때 뒤집기도 있기 때문에 장담할 수 없다는 진단도있다.

사실 TK변수는 대선때의 투표성향보다는 오히려 이번 여권 경선과정의 영향력에서 더욱 힘을 발휘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지역의 원내외 지구당위원장들은 단결하면서 이기는 쪽에 가담하는 경향이 있어 이번에도 대선주자들이 TK동향을 예민하게 쳐다보고 있다. 그래서 대선주자들은이곳 공략에 사활을 걸고 있다. 그렇다면 신한국당 TK의원들은 여권내 대선주자들 중에서 누구를 밀 것인가.

이는 전국적으로 어느 주자가 유리한 고지에 서있느냐는 점에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없다.서훈(徐勳)대구시지부장과 김찬우(金燦于)경북도지부장 등 민주계인사. 그리고 일부 범민주계 및관망파들을 제외하고는 대다수는 이회창대표쪽으로 기울고 있다. 물론 겉으로는 조용한 분위기다.민주계측은 박헌기(朴憲基), 주진우(朱鎭旴), 김광원(金光元)의원 등을 자파로 분류하고 있지만 사실이아닌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서훈의원은 박찬종고문 캠프에 합류했고 김찬우의원은 민주계통합노력에 애를 쓰고 있다.

물론 TK의원들의 일부는 지역출신인 이수성고문에 대해서도 눈길을 주고 있으나 대선후보가 될수 있겠느냐는 대목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반응들이다.

그러나 TK의원들도 경선전이 의외의 변수로 혼란이 생기면 어떤 식으로 정치적 행보를 보일지는미지수다.

지역동향과 관련해 눈여겨보아야 하는 것은 자민련 TK의원들의 동태다. 지금은 뚜렷한 목표가없기 때문인지 갈팡질팡하고 있다. 야권 후보단일화가 되면 활로가 다소 생기겠지만 그렇지 않을땐 JP를 밀기에는 문제가 없지 않고 그렇다고 독자적으로 당을 만들기도 어렵다. 또 여권 대선후보를 지원하는 이도 있을 수 있다. 지리멸렬할 공산이 높아 자민련 TK의원들의 시름은 깊어만간다.

현재로서 가능성은 극히 희박해 보이지만 박태준(朴泰俊)전포철회장의 대선 출마 여부도 관심거리다. 또 민주당의 진로와 포항출신 이기택(李基澤)총재의 대선출마 여부도 작지만 변수다.〈李憲泰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