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철(金賢哲)씨가 한보사건 수사 착수 1백9일만인 15일 검찰에 소환됐다.
검찰은 현철씨를 소환하기 앞서 (주)심우대표 박태중씨, 전대호건설 사장 이성호씨등 측근들에 대한 광범위한 조사와 계좌추적 작업을 통해 이미 현철씨를 구속할 충분한 단서를 확보해 놓은 상태이다.
검찰의 수사는 "대가성 있는 자금은 한푼도 받은 적이 없다"고 주장해온 현철씨를 무너뜨리는데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현철씨의 국정개입 의혹에 관한한 가벌성이 없어 이미 수사대상에서 제외시킨 상태이며국가기밀 유출 의혹도 "책임질 사람이 있다면 책임을 묻겠다"던 입장에서 한발 후퇴한 듯한 모습이다.
특히 김기섭 전안기부 운영차장의 기밀누출 의혹과 관련, 안기부에 내사를 요청했는지 여부조차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검찰은 현철씨가 저질러온 수많은 과오(過誤) 가운데 사법처리와 연결시킬수 있는 이권 개입및그에 상응한 금품수수 여부를 찾는데 몰두해 왔다.
검찰은 지금까지 조사결과 현철씨가 이성호.김기섭씨를 통해 각각 50억원, 70억원씩 1백20억원의비자금을 관리해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씨가 93년말 부터 95년7월 까지 관리한 50억원 중에는 93년초 박태중씨 계좌에서 인출된 대선자금 잉여금 일부와 대선 직후 4~5개 재벌기업들이 YS캠프에 전한 당선 축하금이 섞여 들어간것으로 알려졌다.
박씨는 검찰에서 "대선직후 현철씨에게 넘겨준 나사본 대선자금 잉여금은 극히 미미한 것"이라며"93년 1~3월 본인과 측근 명의로 인출된 1백32억원중 52억원은 중복 인출된 것이며 실제로 이자8억원을 뺀 72억원으로 사업을 운영했다"고 진술,대선자금 잉여금 관리 의혹을 계속 부인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수사정황으로 볼때 이미 검찰은 현철씨 비자금 내역의 전모를 파악하고 있으며 어느 선까지 이를 공개할지를 놓고 검토중인 것으로 보인다.
검찰은 현철씨 비자금의 출처가 대선자금 잉여금과 기업들이 건넨 당선축하금일 경우 가벌성과연결시키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대선자금 자체가 '수사의 본류가 아니다'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그럼에도 검찰은 현철씨의 대가성 자금 수수혐의를 입증하는데 상당한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검찰 관계자들은 '김현철씨의 재소환은 피의자 신분'이라는 점을 명백히 하고있다.검찰은 굵직한 이권과 관련, 현철씨가 측근들을 통해 받은 의문의 뭉칫돈을 단서로 현철씨를 압박, 자백을 이끌어 낸다는 전략이다.
검찰은 현철씨를 옭아맬 카드를 수사기밀이란 점 때문에 밝히고 있지 않으나 검찰 주변에서는 두양 김덕영회장이 신한종금 경영권 분쟁과 관련, 건넨 3억원과 4~5개 대기업이 제공한 20억원, 대호건설에 유입된 모기업 자금 20억원 등을 '히든카드'로 준비해 놓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검찰이 수사 기밀에 민감한 것은 현철씨가 "검찰이 딜레마에 빠져있는 것 같다"고 언급할 정도로수사상황에 안테나를 세우고 있는 점을 의식, 자칫 조사도 하기전에 먹이를 흘려주는 우를 범하지는 않겠다는 판단 때문이다.
한 수사관계자는 "대호건설의 관급공사 수주와 관련, 모기업이 대호건설에 20억원을 입금한 흔적이 발견되는 등 수십억원에 달하는 뭉칫돈이 계좌추적 결과 나타났다"면서 "그러나 이 뭉칫돈의청탁성 여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입증되지 않은 단계"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