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기자노트-표류하는 대구현안

김영삼(金泳三) 정권이 들어서고 4년여. 대구시민들은 그동안 정치권으로부터 냉시속에 권력의 위력을 뼈아프게 느껴야만 했다.

지역민들은 고속철 대구구간 지하화와 위천국가산업단지 지정, 대구지하철 운영비의 지원등 대구지역의 현안들이 지역민의 뜻과는 다른방향으로 결정되고 또 정부의 결정들이 자주 번복되는데대해 실망감을 지우지 못하고있다.

특히 대구시민을 상대로 한 정부의 약속이 정부에 의해 깨지고 있음에 더욱 분개한다.문민정부 최대의 사업이라는 경부고속철도사업에서 대구시역 구간의 지하화를 위해 지역민들은대구전체의 역량을 모아 의견을 이쪽으로 집약했었다. 결과는 지하화로 결정됐다. 그러나 대구시민들의 쟁취 성취감은 잠시, 정부는 기회있을때마다 지하화불가 애드벌룬을 띄워가며 대구시민들의 반응을 떠보려 하고있다.

문희갑(文熹甲)대구시장의 선거공약이기도 한 위천국가산업단지에 대한 정부의 대책은 언제나 불분명하고 투명하지 못했다.

지난해엔 대구시의회를 비롯, 정치권과 지역의 시민단체와 상공인들이 모두 참여하는 범시민대책위원회까지 구성했고 시민단위의 궐기대회까지 열었다. 시민들의 위천단지 지정바람은 자발적인서명운동으로 번졌고 위천은 이제 전대구의 열망으로 굳어졌다.

이에대한 정부의 대응은 언제나 지켜지지않는 부도수표였다. 지금은 여당 대권예비후보인 이수성(李壽成)고문이 총리시절인 지난해 12월말 대구에 와서 "내년1월중 공식 지정될것"이라 공언했다. 이에앞서 또 지하철 2호선 기공식에 참석한 김영삼대통령은 "대구의 현안인 위천이 연내에지정되도록 하겠다"고 말해 대구시민들에게 기대를 걸게 했다. 그러나 위천은 여전히 미뤄지면서 한보사태속에 파묻혔다.

이처럼 지역현안들이 무산 위기를 맞고 있으나 지역의 정치권은 얼마나 지역을 위해 대변하고 있는지 대구시민들은 궁금해 하고 있다.

〈李敬雨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