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그룹이 대대적인 인력감축과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기아그룹은 24일 이사대우급 이상 임원 84명이 자진사퇴함으로써 부도유예협약적용이후 지금까지1백4명의 임원진이 감축됐다고 발표했다.
이같은 임원감축 규모는 부도유예협약 적용 이전의 기아그룹 전체 임원 3백40명의 31%%에 달한다.
이날 퇴진한 임원진에는 기아그룹의 2인자인 한승준 기아자동차 부회장과 최근 고문으로 물러났던 김영귀 기아자동차 전 사장, 김영석 아시아자동차 전 사장, 이기호 전 그룹기획조정실 사장 등이 포함됐으며 한 부회장은 기아의 자문역으로 위촉됐다.
이들 외에도 이성우 기산개발 사장과 부사장급 2명이 자진사퇴했다.
이에 따라 기아는 경영진의 공석을 메우기 위해 오민부 기아자동차 기획조정실전무를 대경화성사장으로 발령하는 등 9명의 임원에 대한 전보인사를 단행했다.
기아자동차는 이와 함께 25개에 달하는 사장 직속 부문을 15개로 통폐합하고 아산만 1공장과 2공장의 통합 등 생산, 관리, 개발부문을 총괄관리체제로 개편했으며 생산, 개발 등 6개 부문을 축으로 본부장의 권한과 책임을 대폭 강화하는 등 조직개편을 단행했다.
다음은 기아그룹 임원전보인사 내용.
△ 기아자동차 부사장 조병창 △ 〃 전무 정태승 △ 〃 상무 유순봉 △ 아시아자동차 상무 임동일 △ 기아중공업 부사장 신영철 △ 〃 상무 이강전 △ 기아모텍상무 황순영 △ 한국AB시스템전무 이종현 △ 대경화성 사장 오민부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한미 정상회담 국방비 증액 효과, 'TK신공항' 국가 재정 사업되나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