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기말적 풍조와 함께 한복계도 복고풍 이라는 한복연구가 서영애씨(삼삼한복 대표)는 여자한복이 저고리가 짧아지면 치마폭이 넓어지고, 반대로 길어지면 치마폭이 좁아지는데 올해는 저고리길이가 다소 길어지고 치마폭이 통치마식으로 좁아지는 경향이라고 전한다.
한동안 큰 인기를 끌던 체리핑크 등은 거의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차분히 가라앉은 색상이 대부분이며 한동안 겉감으로 쓰이던 노방이 안감으로, 노방을 한번 더 가공 처리하여 부드러운 질감을 살린 갑사가 겉감으로 붐을 타고 있다.
동색으로 쓰던 겉감과 안감을 보색으로 처리, 투톤컬러를 살리며 치마 저고리도 서로 딴색을 쓴다.
복고조와 함께 젊은 층은 흰저고리에 감색치마(혹은 검은 치마), 중년층은 그린색 치마에 연연두나 겨자색 저고리를 받쳐 입는게 무난하다. 원래 흰저고리 검은 치마가 우리 한복을 대표하는 색상이긴 하지만 요즘의 그것은 색상만 같을 뿐 수복강령(문자)이나 용 국화 등 문양이 들어있는명주바닥(고사 갑사 국사 등)에 수를 놓아 화려함을 살린게 특징이다. 깃 고름 끝동(소매끝)에는꽃무늬 금박을 넣는다. 벙그렇게 살린 페티코트 대신 차분하게 숨을 죽인 얌전한 페티코트가 인기.
여성들은 신기좋은 나일론 버선보다 솜버선을 신어야 발맵시가 나고, 치마는 신발이 안 보일 정도의 길이면 된다.
남자 한복의 경우 바지저고리를 같은 색상으로 맞추면 키가 커보이며, 자수나 매듭단추로 멋을부린 딴색 마고자를 받쳐입으면 한복의 단조로움을 피할 수 있다.
앞섶이나 주머니에 수를 넣고 매듭 단추로 멋을 살린 마고자, 검은색이나 짙은 고동색 대신 연한색상(보라계열이나 진갈색)의 두루마기에 부드러운 파스텔조 색상의 바지저고리가 올 추석 남성한복의 멋을 더해줄 것 같다.
〈崔美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