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2일 노동당 평남대표회를 개최, 김정일(金正日)을 당총비서로 추대하기로 결정함에 따라김정일로의 공식적인 권력승계가 임박한 것으로 전망된다.
94년 김일성(金日成) 사망이후 북한은 '김일성 3년상'을 내세우며 김정일의 권력승계를 미뤄왔다.그러나 3년상이 끝나는 올해에는 북한이 더이상 권력승계를 미룰 명분이 없다는 점에서 권력승계와 관련된 직접적인 조치들이 있을 것으로 예상돼 왔으며 단지 구체적인 시기가 관심의 초점이었다.
이런 상황속에 북한이 평남 당대회에서 김정일을 당총비서로 추대키로 결의한것은 조만간 김정일의 공식적인 권력승계를 마무리짓기 위한 구체적인 절차에 돌입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북한은 평남에 이어 각도별로 당대회를 열어 전국적인 추대결의를 가진 후 전체당대회나 당대표자회의를 열어 공식적으로 권력승계를 할 것으로 보이며, 그 시기는10월10일 노동당 창건 52주년기념일을 전후해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북한은 도당대회를 먼저 열어 전체 분위기를 고조시킨 후 전체 당대회를 열어 당총비서직을 승계하는 절차를 밟을 것으로 보이며 이와같은 선출방식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일성도 당규약에 따라전체 당대회에서 당총비서로 선출됐을 뿐 먼저 도당대회에서 추대결의를 다진 바는 없는 것으로알려지고 있다.
김정일이 이같은 권력 승계 방식을 택한 것은 자신에 대한 인민들의 지지가 확고함을 과시함으로써 승계이후 정치적 입지와 권력기반을 확고히 다지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북한이 그동안 권력승계를 위한 뚜렷한 조짐을 보이고 있지 않다가 갑자기 추대움직임을 보이고나선 것은 더이상 권력승계를 미룰 명분이 없을 뿐만아니라 현재 북한이 처한 위기상황을 극복할만한 별다른 묘책이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동안 일부 전문가들은 현재 북한이 심각한 체제위기에 빠져 있다고 지적, 김정일의 통치력을과시하기 위해 어느 정도 체제안정을 다진 이후에 권력을 승계할 가능성도 있다고 주장해왔다.그러나 가장 시급한 문제인 식량난은 해마다 악화될 뿐,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않고 있으며 북한이 체제위기 극복의 돌파구로 삼아온 미국과의 관계개선도 별다른 진전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정부당국자는 "최악의 상황에 이른 식량난과 김정일의 뚜렷한 외교적 성과가 없었다는 점에서(권력승계가) 올해를 넘기는 것이 아니냐는 전망도 일부에서 제기됐었다"면서 "현재와 같은 비정상적인 국가운영체제로는 어차피 현실타개가 어렵다고보고 김정일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체제를갖추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북한이 현재까지는 당총비서직 승계와 관련한 움직임만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김정일은 당총비서직과 국가주석직을 동시에 승계하기 보다는 당총비서직을 먼저 승계한 후 국가주석직에는 추후에오를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문가들은 김정일이 김일성에 대한 예우차원에서 국가주석직은 공석으로 남겨 두거나 자신의 권력기반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원로들에게 이양할 것이라는 추측도 제기되고 있으나 '유일지도체제'를 강조하는 수령론에 입각해 볼 때 설득력이 약하다.
그러나 김정일이 권력을 승계하더라도 체제안정과 권력기반을 확고히 다지기까지는 많은 난관과도전을 극복해야 한다.
김정일은 먼저 난국을 돌파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과 노선을 제시해야 한다. 그러나 김정일은 승계이후 권력을 장악하고 체제안정을 기하기 위해서 당분간은 김일성이 내세워온 정책을 그대로추진하는 가운데 조심스럽게 차별화를 시도할 것으로예상된다.
김정일이 가장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과제는 7년연속 마이너스 성장으로 최악의 국면에 빠진경제난을 해결하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체제의 폐쇄성을 감안할 때 김정일은 당장 개혁개방정책으로 전환하지는 못할 것으로예상되며 다만 나진선봉지역개발 등 제한적인 개혁개방정책으로 활로를 모색해 나갈 것으로 관측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