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상 초유의 대졸자 취업대란이 벌어지고 있는 가운데 그동안 3D 업종으로 취업희망자들의 기피대상이었던 제조업체 생산직도 취업이 어려워지고 있다.
최근 생산직 사원을 모집하고있는 지역의 한 자동차부품업체 관계자는 '경쟁률이 8대 1 정도'라며 '다른 업종에서 일하던 40대나 전문대 및 대학을 졸업한 인력이 찾아오는 경우도 있다'고 말했다.
이는 올들어 부도업체의 증가로 실업이 크게 늘어나고 있으나 지역의 제조업체들은 경기에 대한비관적인 전망이 확산되면서 고용을 줄이고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대구지방노동청의 한 관계자는 "고용보험 신청자 중 폐업으로 인한 실업자가 지난해엔 31%%에불과했으나 올들어서는 50~60%%선으로 껑충 불어났다"며 "실업으로 인한 재취업 희망자가 증가하고있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대구지방노동청·대구인력은행 등 취업알선기관에는 제조업 생산직 취업을 의뢰하는 인력이 크게 늘어난 반면 업체의 구인수는 소폭 증가하거나 제자리걸음을 하는 등 제조업 생산직에도 취업난이 발생하고 있다.
대구인력은행 자료에 따르면 제조업 생산직 부문 구직자는 올해 1/4분기 6백83명에서 3/4분기 1천4백30명으로 두배 이상 늘어났지만 업체의 구인수는 1천4백43명에서 1천5백26명으로 1백명 정도 증가하는데 그쳤다.
이 기간 동안 관리사무직 및 서비스 부문의 취업 희망자는 2천4백49명에서 2천1백7명으로 오히려3백명 정도 줄어들었다.
대구지방노동청의 경우에도 올해 1/4분기의 제조업체 생산직 구직자가 6백명에서 3/4분기엔 6백66명으로 늘어났으나 업체의 구인수는 3백95명에서 3백17명으로 감소, 구인자 대비 구직자 비율이 0·66에서 0·47로 떨어졌다.
대구지방노동청의 한 관계자는 이에대해 "구직자들이 예전엔 임금 및 노동조건이 열악하다는 이유로 기피하던 제조업 생산직으로 몰리고있다"며 "특히 재취업자들은 종전 보다 낮은 임금과 직위를 감수하는 하향지원 추세를 나타내고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칠승 "대구는 보수꼴통, 극우 심장이라 불려"…이종배 "인격권 침해" 인권위 진정
[단독] 최민희 딸 "작년 결혼했다" 스스로 페북 표시
이재명 대통령 '잘못하고 있다' 49.0%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