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들간의 노동소득 불평등이 지난 93년 이후 계속 악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IMF체제로 근로자들의 실질임금이 줄어들고 실업이 저소득층에 집중되면서 앞으로 더욱 심화될것으로 전망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14일 내놓은 '노동소득 불평등의 추이변화 및 전망'이란 보고서에 따르면전체 근로자중 임금수준이 상위 80~90%에 해당하는 9분위의 임금을 하위 10%에 해당하는 1분위임금으로 나눈 지수는 지난 81년 4.79를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해 92년에는 3.63까지 줄었으나 93년에 3.75로 다시 올라간 뒤 94년 3.75, 95년 3.77로 상승추세를 보이고 있다.이 지수는 낮을수록 소득불평등도가 낮은 것을 뜻한다.
또 임금수준이 최하위 10%에 해당하는 1분위의 임금소득이 전체 근로자 임금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76년 3.08%에서 81년 3.14%, 93년 3.83%로 해마다 높아져 왔으나 지난해에는 3.72%로 다시낮아져 IMF체제 이후 하위계층의 임금감소 현상을 반영했다.
소득불균형 심화의 원인으로는 근속 및 경력 차이가 가장 커 기여도가 76년에 14.9%에서 93년에는 28.0%로 늘어났다.
반대로 소득불평등을 해소시킨 원인중 가장 큰 것은 교육수준으로 지난 86~93년간 기여도가 33%를 차지했다. 그러나 노동조합의 기여도는 일반적인 인식과는 달리 같은 기간중 3% 정도에 그쳐큰 역할을 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됐다.
KDI는 "올해 제조업의 실질임금이 지난해보다 15% 이상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고 실업이 저임금계층으로 집중됨에 따라 노동소득 불평등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지나친 소득분배 악화를 초래하지 않도록 실업자와 빈곤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의 지속적 확대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鄭敬勳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