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꼬마 옹기종기 모여 토담밑에서 소꿉장난하던 어릴적 풍경. 울타리보다는 아이들의 터전으로더 어울리는 토담. 나즈막한 토담위로 풀쩍풀쩍 뛰며 "○○야, 놀자" 외치던 그 시절, 그러나 학원이나 오락실로 발길을 옮겨야 하는 요즘 세태가 서글프다.
돌이나 깨진 기와를 적당히 넣어 질박하면서도 멋을 낸 우리네 토담. 흙을 한 켜 놓은 뒤에 깨진암·수키와 조각이나 돌을 일직선으로 눈박이를 나란히 한 뒤 그 위에 다시 흙덩이를 늘어놓아켜를 이루게 했다.
솟을 대문을 낀 토담이 고가옥 주위를 유선형으로 감거나, 초가지붕 아래로 둥글게 감싸 옛 정취를 뿜어낸다. 토담 위로 감겨올라간 몇줄기의 호박넝쿨이나 담쟁이넝쿨은 고택의 분위기를 더욱진하게 자아낸다.
창의성있고 솜씨있는 옛 장인들은 기와의 곡선을 이용해 직선이 아닌 파상선(波狀線)을 연출하기도 하고, 간단한 식물의 형상을 만들기도 했다. 흙덩이를 타원형으로 만들어 한 켜는 머리가 왼쪽으로 가게하고, 다음 한 켜는 반대편으로 머리를 두게 해서 변화를 주기도 했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