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쇼핑봉투 다른 곳도 주던데요..."

일회용품 사용금지 규정 취지가 무색할 정도였다.22일 모든 식당의 1회용 컵, 접시 사용과 10평 이상 가게의 쇼핑봉투 제공이 금지됐으나 실제 규정을 지키는 업소는 거의 없었다. 이는 새로운 제도 도입 이후 3개월동안 처벌이 유예되는 '여유' 때문이기도 했지만 홍보부족과 대안부재가 근본 원인이었다.

지역 대형 유통업체들은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자는 캠페인성 포스터만 매장내에 붙여놓았을 뿐 여전히 쇼핑봉투를 제공하고 있었다.

또 10평 이상 식당들도 새로운 규정 시행일조차 모르면서 종전처럼 나무젓가락, 이쑤시개, 스티로폼 용기 등 일회용품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대구시 수성구 한 식당 업주는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말자고 했던 게 이번만이 아니다"며 "모든 업소가 동참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선결과제"라고 주장했다.

일회용품 사용이 많은 패스트푸드점은 대체사용 물품을 구하는 것보다 분리수거를 통해 회수율을 높이는 방향으로 재활용촉진 규정을 따라가려는 모습을 보였다. 지역 백화점, 할인점 등은 쇼핑봉투 사용제한을 위해 유료지급, 보증금, 쿠폰 등 가능한 3가지 안을 놓고 다른 업체의 눈치를 보고 있다.

포항지역 백화점과 유통업계는 "일회용품 유상제공 방법이 애매모호할뿐만 아니라 일회용품 억제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없고 또 홍보도 제대로 되지 않아 22일 고객과 마찰이 심해 당분간 종전처럼 일회용품을 사용키로 했다"며 어려움을 토로했다.

더욱이 지역 도시락업체들은 도시락 최대수용기인 봄철을 앞두고 대량으로 구입한 일회용품의 재고처리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한편 대구환경운동연합 공정옥부장은 "시행 초기에는 여러가지 부작용이 있겠지만 환경을 보호한다는 측면에서 시민들이 조금만 불편을 감수하면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崔潤彩.全桂完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