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보험자해' 안통한다

최근 거액의 보험금을 노리고 자신이나 가족의 신체 일부를 절단하는 IMF시대 생계형 자해가 잇따르고 있다. 그러나 이처럼 보험금을 노린 자작극은 보험사 자체의 조사나 경찰조사 과정에서 거의 100% 꼬리가 밟히는 무모한 행동이라는게 보험업계의 지적이다.

거액의 보험금 신청이 들어올 경우 보험사들은 전문 조사요원을 투입해 보상금지급의 적부를 정밀 점검한다. 큰 보험사의 경우 아예 전직경찰 출신의 전문조사요원까지 두고있을 정도.

생명보험사들은 사망 혹은 1급장애 사고의 경우 계약자가 다른 보험사에 가입한 보험 내역까지 샅샅이 조회한다. 보험금을 노린 범죄는 통상 가입자의 소득수준에 걸맞지 않게 많은 보험계약을 한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금방 의심의 선상에 오른다.

심증은 있으나 물증을 잡기 어려울 경우 보험사들은 검찰과 경찰에 수사의뢰를 한다. 이처럼 보험금을 노린 사기 혐의로 수사를 의뢰하는 건수가 대구지역 손해보험업계에서만 연간 10건 안팎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험금을 노린 사기로 볼수는 없지만 보험금 신청 원인이 보험사의 실사 결과와 달라 지급이 거부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암같은 병을 숨기고 보험에 가입했을 경우 보험사들은 의료보험조합등에서 자료를 얻어 보험가입 3개월전의 병원 진료 내역등을 조사한다.

한편 보험금을 노린 자해극은 최근 부산의 택시기사가 철로에서 자신의 발목을 절단한 것을 비롯 지난해에는 마산에서 아버지가 어린 아들의 손가락을 자르고 서울에서는 슈퍼마켓주인이 자신의 발목을 도끼로 절단하는등 잇따르고 있다.

〈金海鎔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