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공동구 마련 관리해야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지하매설물 안전관리와 이중굴착으로 인한 공사비용 부담을 덜기 위해 지하철 등 대규모 건설사업시 전력.통신 선로, 도시가스관을 함께 관리하는 '공동구' 마련이 시급하다.

토목 전문가들에 따르면 대구 지역 전력.통신 선로 등이 제각각으로 묻혀있어 대형사고 위험이 상존하는데다 잦은 도로 굴착으로 인한 시민 불편과 사후 관리비용이 공동구 건설비용보다 많이 들어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

특히 대구지하철 2호선 경우 도로폭이 넓고 직선형이어서 공동구 설치가 쉬우며 토목공사가 진행중인 현시점이 적기로 지적되고 있다.

대구지하철건설본부측은 당초 지하철 2호선 설계 당시 대구도시가스 등 지하매설물 관리업체와 7차례에 걸쳐 공동구 건설협의를 벌였으나 무산됐으며 이들 업체들은 초기 투자비용이 많다는 점과 기술적 어려움 등을 들어 공동구 설치를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프랑스, 일본 등 선진국들은 대부분 지하철 공사나 신도시 건설때 공동구 설치를 의무화해 지하매설물 관리를 일원화하고 있으며, 서울 목동, 대전 일부 지역에서도 지하매설물 공동 관리가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대구지하철 2호선 구간(총연장 29㎞)에는 도시가스관로 9.3㎞, 전력관로 4.7㎞, 통신선로 8.2㎞ 등 총연장 37㎞의 지하매설물이 있다.

또 달서구 대곡지역, 칠곡 등 신도시 건설때도 지하매설물을 공동구로 관리해야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김영수 경북대 토목공학과 교수 등 전문가들은 "공동구 설치는 선진국형 도시관리의 기본으로 중앙정부와 지자체, 매설물 관리업체 등이 긴밀히 협조해 통신.전력 선로만이라도 공동구로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金炳九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