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세풍-밀라노 프로젝트 불협화음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섬유업계 밖에 있는 일반시민들은 대구를 아시아의 밀라노로 만든다는 밀라노 프로젝트에 엄청난 기대를 가지고 있다. 경제적으로 낙후된 대구가 이 계획의 실행이 끝나는 2003년쯤에는 활기가 넘치는 도시로 바뀔 것이란 희망을 주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작 섬유업계의 인사들은 모두 밝은 전망만 가지고 있지 않다. 물론 섬유업계의 대전환을 꿈꾸는 섬유인들도 있으나 우리업계의 형편과 문화적 전통차이로 이 계획의 효과가 크지 않을 것으로 보는 인사들도 많다.

그렇지만 21세기 길목에 선 대구로서는 밀라노 프로젝트 말고 뚜렷한 다른 산업적 선택이 없다. 어떻게 해서든 이 계획을 성공시켜야 대구가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것이다. 낙관적 전망과 비관적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이 계획에 관련된 모든 당사자들이 최선의 노력과 협조를 해야만 성공 가능성이 보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낙관과 비관의 혼재

그럼에도 유감스럽게도 이 프로젝트는 시행초기부터 관련 당사자인 섬유업계.대구시.산자부의 불협화음이 밖으로 새나오고 있어 여간 걱정스럽지 않다. 아직 공식적으로는 산자부나 대구시, 섬유업계가 갈등을 빚고 있다는 사실을 부인한다.

하지만 지난달 11일 대구.경북염색조합정기총회에서 문희갑 대구시장이"밀라노 프로젝트의 실패 때는 모든 책임이 섬유업계로 돌아간다"면서 섬유단체장의 세대교체를 주장하는 한편 업계와 산자부간의 개별접촉에대해 경고했다.

이로인해 업계쪽에선 문시장에 대해 상당한 반발파문이 있었고 산자부측도 말썽많은 대구 직할사무소 설치에 대한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고 있어 항간에 나돌고 있는 밀라노 프로젝트 주도권잡기 갈등을 엿보게 한다.

--관련 당사자의 갈등

그같은 갈등의 탓인지 이 사업이 올초부터 본격적인 시동단계에 들어서야함에도 1.4분기가 끝나가는 이달들어서도 이 사업추진 중심기구로 계획된 "대구지역 섬유산업 육성추진위원회"(가칭)마저 구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뿐아니라 중앙정부의 올해 지원예산 40억원이 은행금고에서 잠자고 있다는 것은 이 사업의 장래가 주도권잡기경쟁 때문에 사공 많은 배가 산에 오르는 격이 되지않을지 염려스럽게 한다.

사실 밀라노 프로젝트는 낙후된 대구섬유를 살리기 위한 시민과 업계의 숙원이기 때문에 그것이 대통령의 공약에 따른 산업자원부의 역점사업으로 진행되든 대구시장의 주력사업으로 추진되든 그 어느 쪽의 명분이 중요한게 아니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 사업의 성공이 중요하다. 그러려면 주도권 문제가 힘의 논리로 결정돼서는 안된다. 순리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사업의 성격이 대구지역의 산업육성을 목표로 하는 이상 지방자치시대에 맞는 방법으로 추진돼야 하고 민간주도형 산업정책시대에 합당한 방식을 따르는 것이 순리라 할 것이다.

--지방시대적 방식을

이같은 원칙에 비춰본다면 산자부가 대구에 직접 사무실을 내고 대구시와 업계에 감놓아라 대추놓아라하고 간섭한다면 이는 지방자치에 역행하는 처사인 것이다. 중앙정부가 계획을 검토하고 자금을 지원한다고해서 사업집행을 상시 간여해서는 안된다.

지역의 섬유산업육성은 분명히 지방사무지 중앙사무가 아니다. 산자부가 자금흐름을 점검하겠다면 상주사무실을 내지않아도 가능할 것이다.

또 대구시가 선출직인 섬유단체장의 교체를 주장하는 것도 지나친 간섭이다. 시당국은 어디까지나 조장행정을 펴면 되는 것이지 이 사업을 끌어갈 업계주역들의 선출문제에까지 간여하는 것은 관주도형 경제시대를 방불케하는 것이다. 다소 능률이 떨어지더라도 업계의 자율을 존중해야 할 것이다. 홍종흠〈논설위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