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는 29일 과학기술정보통신위와 문화관광위 등 14개 상임위 별로 정보통신부 헌법재판소 등에 대한 국정감사를 갖는 것을 시작으로 내달 18일까지 20일간의 국감에 돌입했다.
여야는 이번 국정감사가 내년 봄 총선 등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당력을 총동원할 것으로 보여 뜨거운 공방전이 예상된다.
여야 의원들은 이날 국감에서 특히 도.감청 및 언론사 세무사찰 문제를 놓고 팽팽히 맞섰다.
한나라당 강재섭.김형오의원 등은 정보통신부를 상대로 한 국감에서 "전 국민의 80%이상이 통신에 대해 불안을 느낄 정도로 불법감청에 대해 우리사회가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근본적인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김의원은 또 "98년 긴급감청의 경우 한해 동안 187건인데 이중 허가서 청구시기가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에만 165건이 집중 발급됨으로써 작년이후 정치권의 최대 현안으로 부각돼 온 세풍, 총풍의 수사시기와 일치하고 있다"며 "긴급감청이 정치권 사찰과 무관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의혹을 제기했다.
반면 국민회의 김영환의원 등은 "긴급 감청 문제가 과거 정권에 비해 현저히 줄어들고 있으며 또한 법원 등 관련기관의 허가를 토대로 이뤄지는 합법적인 행위"라고 반박했다.
문과관광위 국감에선 한나라당 박종웅의원이 보광그룹 및 통일그룹 등에 대한 세무사찰과 관련, "특정 언론사를 겨냥한 세무사찰은 해당사와 집권세력과의 관계 등 정황으로 미뤄볼 때 집권세력의 보복적 성격이 강하고 나아가 언론사 길들이기를 위한 방편이 아닌가하는 의혹이 제기된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박시균의원은 보건복지부 국감에서 "의료보험 통합시 직장의료보험 종합전산망 구축에 소요된 비용 380억원과 공무원.교원 및 지역의료보험 등 통합 당시의 종합전산망 구축 비용 190억원 등 모두 570억원에 달하는 국민혈세가 보건복지부의 무계획적이고 졸속적인 탁상행정에 의해 헛된 돈이 투자된 것으로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徐奉大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