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언론대책 문건 고소사건'과 관련, 정형근(鄭亨根) 한나라당 의원에게 문건을 전달한 평화방송 이도준(李到俊) 기자를 수사하는 과정에서 이 기자의 금품수수 비리가 속속 드러나 관심을 끌고 있다.
지금까지 조사결과 이 기자는 정 의원에게 문건을 전달하기 전 500만원씩 2차례로 나눠 1천만원을 받은 것을 비롯해 정치인들과의 친분을 이용, 한 건설업체로부터 민원청탁과 함께 2천만원을 수수한 것으로 드러났다.
1일 이 기자에 대해 고소사건의 곁가지 혐의인 절도 혐의로 구속영장을 청구한 검찰은 그의 신병을 확보한 뒤 금품거래 내역도 정밀 조사할 방침이어서 이번 수사가 엉뚱한 방향으로 치달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태다.
이 때문에 검찰 주변에서는 수사가 진행될 수록 이 기자의 비리에 연루돼 다치는 정치인이 속출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이와 관련된 '이도준 리스트'가 있을 것이라는 그럴 듯한 얘기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특히 이 기자가 정치인들에게 각종 문건과 정보를 제공하면서 돈거래를 하거나 심지어는 민원해결사 역할을 자처한 사실이 검찰수사로 확인되고 있어 '이도준 리스트'는 한층 신빙성을 얻고 있다.
정치권에서는 벌써부터 '구 여권 실세 아무개가 이 기자의 뒤를 봐줬다'는 등 이기자와 단순한 취재원 이상의 특수관계를 맺었던 정치인들의 이름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날 이 기자의 30개 계좌에 대한 추적에 나서는 한편 컴퓨터범죄 전문수사요원들을 동원, 이 기자가 사용해 온 노트북 컴퓨터를 임의 제출받아 지워진 파일을 복원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이와 관련, 정상명(鄭相明) 서울지검 2차장 검사는 "이 기자의 계좌가 30개나되고 한번에 1천만원이 들어왔다 나간 경우가 있는 등 입출금 내역이 굉장히 복잡하다"며 "돈 흐름을 정밀 추적중"이라고 말했다.
검찰은 이 과정에서 이 기자가 정부기관이 발주하는 공사를 따낸 모 업체로부터 K엔지니어링이 하도급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정 의원에게 청탁하고 K사에서 2천만원을 받은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계좌추적이 본격화될 경우 정치권에서 마당발 행세를 한 것으로 알려진 이기자의 다른 혐의가 드러날 공산이 커 언론대책문건 관련 고소사건으로 시작된 이번 수사는 정치권 안팎에 또다른 파장을 불러 일으킬 가능성이 충분히 있다.
댓글 많은 뉴스
尹, '부정선거 의혹' 제기 모스 탄 만남 불발… 특검 "접견금지"
李 대통령 "돈은 마귀, 절대 넘어가지마…난 치열히 관리" 예비공무원들에 조언
윤희숙 혁신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송언석 거취 밝혀야"
정동영 "북한은 우리의 '주적' 아닌 '위협'"
尹 강제구인 불발…특검 "수용실 나가기 거부, 내일 오후 재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