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4년째 장지 못 구해…전두환 유해 '자택 봉안' 검토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환수 소송서 지킨 연희동 자택 마당에 묻힐 듯
부인 이순자씨 여전히 경찰 경호…2천200만원 예산 투입

지난 2021년 11월 29일 대구 팔공총림 동화사에서 열린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삼우제에 부인 이순자 씨가 참석자들과 함께 영정을 뒤따르고 있다. 매일신문 DB
지난 2021년 11월 29일 대구 팔공총림 동화사에서 열린 고(故) 전두환 전 대통령의 삼우제에 부인 이순자 씨가 참석자들과 함께 영정을 뒤따르고 있다. 매일신문 DB

전두환 전 대통령의 유해가 4년째 장지를 구하지 못해 '자택 봉안'하는 방안이 검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14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전씨 측 관계자는 "유해를 서대문구 연희동 자택 마당에 영구 봉안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는 11월 사망 4주기를 맞는 전씨의 유해는 유골함에 담겨 자택에 임시 안치 중이다. 장지를 구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내란죄 등으로 실형을 선고받은 전씨는 국립묘지에 안장될 수 없다.

유족들은 '북녘땅이 내려다보이는 전방 고지에 백골로라도 남아 통일의 날을 맞고 싶다'는 전씨의 회고록에 따라 휴전선 인근에 안장하는 방안을 추진했고, 2023년 경기 파주시 문산읍 장산리 토지를 가계약했으나 안장 계획이 알려지며 부담을 느낀 토지주가 계약을 포기했다.

결국 부인 이순자씨와 가족의 소유권이 공고해진 연희동 자택의 마당을 전씨의 마지막 거처로 고려하게 된 것이다.

정부는 지난 2021년 연희동 자택을 전씨의 차명재산으로 보고 환수 소송을 냈으나 지난 2월 서울서부지법은 "전씨 사망으로 추징금 채권이 소멸했다"며 각하했다.

정부가 항소하며 11월 20일 서울고등법원에서 2심이 선고된다. 현재 전씨의 추징금 2천200억원 중 860억원가량이 환수되지 못한 상태다.

연희동 자택에는 이순자씨가 머물고 있으며, 경찰 전담 경호대 인력이 24시간 상주한다. 지난해 전담 경호대에 투입된 예산은 2천245만원이다. 경호대 유지에 필요한 공공요금, 시설장비유지비, 여비 등으로 세금이 쓰였다.

임기를 채운 전직 대통령과 가족들은 대통령경호처 경호를 10년 동안 받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 5년 연장할 수 있다. 이후 경찰로 경호업무가 이관된다.

경찰청은 다만 전담 경호대의 인원은 보안 사안이라며 공개를 거부했다.

전씨가 사망한 2021년 기준으로 경정인 경호대장을 비롯해 경찰관 5명이 최소 경호 인력으로 배치됐던 것으로 전해졌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