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9일 새 천년을 여는 2000년 1월 건강길라잡이 주제를 '엄마 젖 먹이기'로 정하고 대대적인 모유수유 촉진캠페인을 벌이기로 했다.
보건사회연구원에 따르면 유엔아동기금(UNICEF)의 99년도 백서는 국가별 엄마젖먹이는 비율을 유럽 75%, 이집트 53%, 미국 52%, 일본 45%로 발표, 우리나라의 14%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우리나라의 모유수유 비율은 85년 59.1%에서 97년 14.1%로 크게 낮아진 반면 조제분유와 모유를 같이 먹이는 경우가 25.3%에서 52.5%, 조제분유만 먹이는 비율은 15.6%에서 33.4%로 각각 높아졌다.
엄마의 교육수준별 젖 먹이는 비율은 중졸이하 26.8%, 고졸 16.1%, 대졸이상 7.7%로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오히려 엄마 젖을 먹이는 비율이 낮았다.
엄마의 연령별로는 24세이하 15.4%, 25~29세이하 14.3%, 30세이상 13.1%로 모유수유 비율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조제분유만 먹이는 비율은 24세이하와 25~29세가 각각 29.4%와 31.1%인데 비해 30세이상은 40.1%로 높게 나타났다.
또 산모의 54%가 분만전에는 엄마 젖을 먹일 계획이었으나 실제 분만 후에는 27, 28%만이 엄마 젖을 먹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병원에 모자동실이 설치되지 않아 산모가 모유를 먹이고 싶어도 출산 후 신생아를 격리해야 하는 구조적인 문제때문인 것으로 지적됐다
엄마 젖 먹이는 비율이 낮은 이유는 '젖이 부족한 경우'(51%)가 가장 많았고 '엄마의 직장복귀'(12%), '아기가 젖을 빨지 않는다'(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복지부 관계자는 "엄마 젖을 먹이면 신생아의 태변 배출이 잘 되고 영아의 경우 각종 질환의 감염을 줄일 뿐만 아니라 아기의 지능 개발에 도움이 되고 산모의 산후회복도 빨라지는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삼국통일 후 최대 국제이벤트 '경주 APEC' 성공(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