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 주식투자 열풍은 지역에도 몰아쳤다. 직장인들은 회사내 컴퓨터로 사이버 거래를 했고 '넥타이부대' 대신 등장한 '핸드백부대'도 주식투자 열기에 불을 붙였다.
주가 양극화로 종합주가지수는 올랐지만 개인투자자 투자종목은 오히려 하락했다. 증권.은행.건설주 등 대중주들은 지난 9월의 고점대비 30~70%씩 떨어졌다. 12월들어 주가 양극화현상은 더욱 심화됐다. SK텔레콤과 한국통신·데이콤·삼성전자.LG정보통신 등 정보통신 5인방의 주가상승률은 평균 44.2%였으나 나머지 종목은 8.2% 떨어졌다. 또 주가가 연중최고치를 경신한 종목은 58개에 불과한 반면 연중최저치를 기록한 종목은 329개나 됐다.
대구.경북지역 상장법인 34개사의 주가도 개인투자자들처럼 증시에서 '왕따'당했다. 올 연초대비 주가가 오른 회사는 12개인 반면 내린 회사는 22개나 됐다. 지역 상장법인들의 연초대비 단순 평균주가는 9천617원에서 1천525원이 오른 1만1천262원으로 상승률이 9.63%에 불과, 종합주가지수 상승률 75%보다 크게 뒤졌다.
曺永昌기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