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부터 수도권 기업들이 지방으로 이전할 경우 큰 폭의 세제혜택과 금융지원을 받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지방이전을 기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재정경제부에 따르면 수도권 과밀억제 권역내 상장기업 및 대형공장 1천900개, 금융기관 73개, 대학 71개 등 2천44개소를 대상으로 이전 수요를 조사한 결과 응답 업체 1천399개 중 84개소만이 지방이전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 35개소는 이전지역을 수도권으로 잡고 있고 27개소는 '미정'이라고 응답, 실제로 지방이전을 고려하고 있는 기업은 전체의 1.5%인 22개에 불과했다.
조사시 세제·금융혜택 등 각종 지원내용이 상세히 소개됐는데도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는 것은 정부의 지원방안에 대해 기업들이 만족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이번 조사과정에서 최고 경영자를 포함,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간부 상당수가 지방이전 촉진대책의 내용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나 정부 홍보가 소홀했던 것으로 지적됐다.
특히 지방이전촉진을 위한 각종 법령의 제·개정작업이 지난해 연말 완료됐음에도 금융·세제지원 안내, 기존부지 매각 및 입지선정 상담 등 지방이전에 따른 종합서비스를 담당할 종합지원센터는 오는 20일에야 가동될 전망이어서 정부의 준비부족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정부는 지난해 8월 수도권 과밀억제지역에 있는 기업이 수도권 이외의 지역으로 이전하는 경우 △법인세, 재산세, 종합토지세 감면 △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을 통한 금융지원 △배후도시 개발권 부여 등을 내용으로 하는 '기업의 지방이전 촉진대책'을 발표했었다.
鄭敬勳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