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밀수를 근절한다는 말은 그야말로 사전속에서나 있을법한 것. 낙타가 바늘구멍을 통과하는 것과 진배없다. 3천㎞에 달하는 긴 해안지역을 통해 이뤄지는 밀수는 주로 광둥(廣東)성의 주장(珠江)삼각주일대와 푸젠(福建)성의 샤먼(廈門)등 동남 연해지역이 그 배경이다. 특히 최대의 밀수 창궐지역인 주장 삼각주는 쾌속정을 이용해 강하구로 진입한 뒤 복잡한 수로를 통해 밀수품인 저우쓰훠핀(走私貨品)을 전광석화처럼 양륙하는 데엔 세관이나 공안경찰은 그저 혀를 내두를 뿐이다. 주룽지(朱鎔基)총리가 오죽했으면 "밀수근절에 핵폭탄과 항공모함만 빼고는 어떤 장비든 동원하라"고 했을까. 주총리는 또 "밀수품을 적발하면 이를 적발해낸 기관에 50%, 나머지는 지방정부에 주겠다"고 말했다. "중앙정부는 밀수가 근절되는 것만으로 만족할 것"이라고까지 했다. 무려 200여명의 고위공직자가 연루된 푸젠성 샤먼시의 초대형 밀수사건이 장쩌민(江澤民)주석을 포함한 최고지도부의 권력투쟁 양상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당초에 한화 약 12조원 규모로 알려진 이 사건은 갈수록 밀수규모도 커질뿐 아니라 그 파장은 아예 측량을 불허한다. 장주석의 측근인 자칭린(賈慶林)정치국원의 부인이 연루돼 있는 것만도 빅 뉴스인데 밀수의 창구인 위안화(遠華)집단의 수사를 건의한 주총리를 장주석이 막으려했다는 사실부터 사건은 커지게 돼 있었다. 또 장주석에게 등이 떼밀려 물러났던 챠오스(喬石)전 전인대상무위원장의 인맥이 사건의 수사실무를 맡고 있어 장주석이 맞고 있는 곤경을 짐작하게 한다. 중국정부는 이 사건을 계속 보도관제하고 있지만 홍콩언론들은 가히 대목장을 방불케 한다. 이미 당중앙위 간부들로 구성된 장주석 반대파가 그의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는 등 마치 옆에서 본듯이 보도를 하고 있다. 수사가 한창인 판에 주요 용의자인 샤먼시 부시장 란푸(藍甫)가 베이징소환직전에 해외로 빠져나갔다. 중앙에서 내려간 특급수사관 300명이 포진한 가운데 이런 일이 발생했다는 사실이 이 사건의 복잡성을 말해준다. 중국은 나라가 큰 만큼 국가적 고민도 비례하는 모양이다.
최창국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