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일본인 지리학도가 조선시대 흔히 '과거(科擧)길'이라고 불리던 영남대로를 지리학적으로 복원했다.
화제의 주인공은 서울대 지리학과에서 이달말 석사학위를 받는 도도로키 히로시(轟博志.29)씨.
도도로키씨는 이달말 출간될 기행기 '일본인의 영남대로 답사기-옛지도 따라 옛길 걷기(한울출판사)'에서 고문서와 고지도를 활용, 조선의 선비가 한양으로 시험을보러갈때 밟았던 과거길을 직접 걸어서 답사하고 기록했다.
도도로키씨는 이 책에서 서울 남대문-분당-용인-안성-죽산-생극-용원-충주단월역-괴산-소조령-문경새재-점촌-상주-여차리-서울나들-칠곡 우암창-대구 파동-청도역-임천리-양산-읍성을 거쳐 부산 동래부를 거치는 옛 과거길을 거의 완벽하게 복원했다.
"옛길은 그 민족의 지혜를 읽을 수 있는 통로이자 역사를 담고 있는 증인이라고 생각한다"는 도도로키씨는 "최근 문화유산을 소개하는 글들이 많이 출간되는데 왜 옛길을 소개하는 작업이 없는지 궁금했다"고 말했다.
또 한국의 옛길이 개발이라는 명분으로 무분별하게 훼손되는 현실을 안타까워하기도 했다.
특히 항일의병투쟁의 격전지였던 경북 문경 관갑전잔교가 도로 확장공사 때문에 두동강이 났다는 사실에는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