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배양이 매우 어려운 간(肝)세포를 실험실에서 대량으로 증식시키는 기술이 개발됨으로써 간이식이 필요한 간부전(肝不全) 환자들이 손쉽게 치료받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미국 브리검 부인병원의 필립 르볼치 박사는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최신호에 발표한 연구보고서에서 간세포를 수백만개씩 인공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히고 이를 간기능의 90%가 파괴된 쥐에 이식한 결과 간기능이 회복되었다고 말했다.
간세포는 인공배양이 무척 어렵기 때문에 르볼치 박사는 세포를 무한증식시키는 암 유전자를 이용했다.
그러나 이를 인체에 그대로 이식할 수는 없다. 이식된 뒤에도 무한증식을 계속할 것이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르볼치 박사는 새로 만들어진 세포에 '유전가위' 역할을 할 수 있는 효소를 투입, 세포속에 들어있는 암 유전자를 잘라냄으로써 무한증 식기능을 제거했다.
르볼치 박사는 이처럼 여러 유전조작 과정을 통해 완성된 간세포를 간의 90%를 외과적으로 잘라낸 쥐들의 비장에 주입했다. 그 결과 이들중 60%가 간기능을 회복해 정상적인 생명을 유지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