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회전목마-한반 5명꼴 기초학력 부진

초·중·고생 중 읽기와 쓰기, 셈하기 등 기초학력이 부진한 학생이 한반에 5명 안팎이며 특히 수학에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읽기(reading), 쓰기(writing), 셈하기(arithmetic) 등을 깨치지 못한, 소위 기초학력(3R's)이 없는 학생은 전국적으로 중학생 4만5천명, 고교생 1만8천명이며 기초학습 기능은 습득했지만 나머지 교과 학습을 따라잡지 못하는 학습부진아는 초·중·고생 합쳐 2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됐다.

충남대 주삼환 교수팀은 교육부 정책연구 의뢰를 받아 전국 881명의 교사를 상대로 기초학력 부진아의 실태와 지도대책 등을 설문조사, 20일 '교과별·교사별 기초학력 책임지도제 시행방안' 보고서를 펴냈다.

이에 따르면 학급당 기초학력 부진아의 숫자를 묻는 질문에 초등학교는 '5명 내외'라고 답한 교사가 49.3%로 가장 많았고 1~2명(46.6%), 7~8명(2.7%), 10명 안팎(1.4%) 등이 뒤를 이었다.

중학교도 5명 내외(41.2%), 1~2명(39.1%), 7~8명(11.8%), 10명 안팎(7.9%) 등으로 같은 순이었으나, '7~8명'이나 '10명 안팎'의 비율이 초등학교보다 높아 일단 수업결손이 생기면 상급학교에서도 계속 누적됨을 보여줬다.

과목별로는 국어의 경우 1~2명(46.5%), 5명 내외(43.3%), 7~8명(7%), 10명 안팎(3.2%)의 순이었고 수학은 5명 내외(41.8%), 1~2명(34.7%), 7~8명(12.4%), 10명안팎(11.2%)으로 나타나 읽고 쓰지 못하는 학생보다 기본셈이 미숙한 학생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기초학력 부진의 원인으로 교사들은 지적능력 결함을 17.1%로 가장 많이 꼽았으나 집중력 부족(15.2%), 정서불안(14.8%), 학부모 관심부족(14.7%), 하급단계에서의학습부족 누적(10.2%) 등도 주요 요인으로 지적, 꾸준한 관심과 지도로 학습부진 문제를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음을 뒷받침했다.

한편 교육부는 이처럼 기초학력이 최저기준에 미달하는 학생이 전국적으로 중학생 4만5천명, 고교생 1만8천명이며 다른 교과에서도 학습수준을 따라잡지 못하는 학습부진아가 초·중·고생 모두 합쳐 2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