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에 유입된 M&A(기업인수.합병) 자금이 아시아지역에서 일본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외국계 M&A 자금이 경상수지 흑자와 외국인주식투자자금 유입 등과 함께 원화 절상의 주된 요인이 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2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모건 스탠리는 '아시아의 M&A 자금 유입과 환율'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99년중 아시아지역으로의 M&A 자금 유입규모는 708억달러로 전년(352억달러)에 비해 2배, 95년(104억달러)에 비해 7배로 급증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한국으로의 유입이 119억8천만달러로 아시아 전체의 17%를 차지했다.우리나라에 대한 M&A 자금유입은 97년 17억2천만달러에 불과했으나 외환위기가 터지면서 기업들의 구조조정이 가속화된 98년 84억8천만달러로 크게 늘어났다.
올들어서도 지난 9일까지 들어온 M&A 자금은 28억달러로 일본(3억2천만달러),중국(3억1천만달러), 홍콩(1억8천만달러) 등을 앞지르며 아시아 1위를 달리고 있다.모건 스탠리는 "특히 세계 주가가 하락세로 반전되는 경우 한국, 일본, 대만 등 이른바 '기술경제국가'에 대한 M&A가 크게 늘어나 해당국 통화의 절상압력이 가중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단독] 국민의힘, '보수의 심장' 대구서 장외투쟁 첫 시작하나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