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방법
무작위 표본추출방법을 통해 선정된 대구와 경북지역 만 20세 이상 유권자 802명(대구 373명, 경북 429명)을 대상으로 22일 하루동안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했으며 95%신뢰수준에 ±3.8%의 표본오차를 보이고 있다. 또 회수된 응답지 15%에 대해선 검증원을 통한 전화검증을 통해 정확·신뢰성을 높였다.
▨조사결과
◎투표의향
오는 총선에서 투표할 것인지를 물은 결과 '투표할 것이다'는 응답이 87.9%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이같은 예상 투표율을 실제투표율로 환산한 결과(87.9%×0.75)는 65.9%에 불과했다. 이는 96년 15대 총선 투표율 71.7%에 비하면 다소 낮은 수치다.
◎기성정치인 VS 신진인사 선호도
총선 출마자중 기성정치인과 신진인사가 있다면 누구를 찍을 것이냐는 물음에 '신진인사'(49.6%)라고 응답한 비율이 '기성정치인'(12.1%)을 택한 비율의 4배 이상 나와, 신진인사 출마에 대한 시·도민들의 의견은 비교적 호의적이며 참신한 새 인물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모르겠다'는 응답도 38.3%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아직은 관망하는 유권자들도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당후보 지지도 분석
정당후보 지지도 조사 결과 한나라당이 31.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무소속(13.2%), 민주당(10.1%)순이었고 자민련, 민주노동당, 한국신당 후보 등은 3.2%, 1.9%, 1.1%로 각 각 한자릿수에 머물러 지지도가 극히 미약했다. 반면 부동층이 39.4%로 나타나 여전히 정당에 대한 불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당후보 지지도 추이분석
지난 1월 1일 본지가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한나라당 38.8%, 민주당의 전신인 국민회의 11.5%, 자민련 4.2%의 순. 그러나 한나라당은 이번 조사에서 31.0%의 지지도를 보여 지난 번 조사와 비교하면 7.8%나 지지도 하락률을 보였다. 여기엔 공천과정의 내부갈등이 주원인으로 분석되고 있다. 민주당과 자민련은 1%안팎의 지지도 하락에 그쳤다.
◎각 정당 후보 공천결과의 지역민심 반영정도
각 정당별 공천 결과에 대해 지역민심의 반영정도를 3당의 평균값으로 분석한 결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46.9%)는 응답이 '제대로 반영했다'(15.9%)는 응답보다 훨씬 높아 각 정당의 공천결과에 불만이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 유보자도 37.2%에 달했다. 특히 한나라당 공천 결과와 관련, '지역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는 응답이 48.1%로 가장 높은 가운데 '지역민심을 제대로 반영했다'는 응답 역시 한나라당이 19.2%로 가장 많이 나와 한나라당 지지층의 입장대립이 다른 정당에 비해 강한 것으로 분석됐다. 자민련과 민주당은 각 45.9%/14.3%, 46.8%/14.1% 였다.
◎각 정당 후보공천 과정의 문제점
각 정당의 지역 후보 공천과정에서 나타난 가장 큰 문제점은 '정치개혁 의지를 반영하지 못한 것'이라는 응답이 31.9%로 가장 많았다. 그 다음으로는 밀실공천(21.9%), 특정인의 사당화(20.3%)의 순이었다.
◎김윤환씨 공천탈락에 대한 시·도민의 태도
이회창 총재가 김윤환씨 등을 공천하지 않은 데 대해서는 응답자의 41.0%가 정치개혁 차원에서 당연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는 지역민심을 반영하지 못했다는 응답(21.1%)과 정치 도의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응답(12.0%)을 합한 것 보다 많은 수치다. 그러나 25.9%의 응답자들이 모르겠다는 쪽으로 답변해 지역민심의 동요가능성도 없지 않음을 시사했다.
'정치개혁 차원에서 당연한 일'이라는 응답은 대구가 경북보다 높았고 경북에서는 대구보다 '민심을 반영치 못했고 정치 도의상 있을 수 없는 일'이라는 응답이 1% 정도 더 높았다.
◎김윤환·조순·이기택씨 등을 중심으로 한 신당 창당에 대한 찬반
'신당 창당에 대해 반대한다'는 의견이 46.9%를 차지, 부정적인 여론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찬성한다'는 의견도 23.2%를 차지해 그 필요성도 어느 정도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반대한다는 의견은 대구가 더 높았고 찬성한다는 의견은 경북이 더 많았다.
◎제4 정당인 연합신당의 창당시 지지도
한나라당 공천 결과에 반발하고 있는 김윤환·이기택씨 등과 이수성·조순·허화평·김용환·박찬종씨 등이 연합한 신당 창당시 지지도는 11.1%로 한나라당의 29.2% 다음으로 높았다. 민주당은 8.1%, 자민련이 2.7%로 연합신당의 지지도는 두 여당의 지지도를 합한 것보다 많았다. 무소속은 9.0%였다. 이 수치는 연합신당 창당을 전제하지 않은 정당지지도와 비교할 때 한나라당은 1.8%, 민주당과 자민련의 지지도 합산에서는 2.4%가 떨어진 것이다. 무소속은 무려 4.2%의 하락을 나타내 다수의 무소속 지지층이 신당에 흡수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당 공천파동이 지역 총선에 미치는 영향
한나라당 공천 반발에 따른 파동이 '한나라당 지지에 큰 변화를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31.8%로 가장 높게 나왔으나 '신당으로 민심이 옮겨 갈 것'이라는 응답(24.1%)과 여당이 반사이익을 볼 것이라는 응답(21.1%)도 45.2%를 차지해 한나라당 공천파동이 대구·경북 총선구도에 큰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을 것으로 분석됐다. 변화가 없다는 응답은 대구지역, 40대, 주부층에서 많았고 신당으로 이동할 것이라는 의견은 경북지역, 남자, 사무직과 학생 층에서 많았다.
裵洪珞·李東寬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