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대통령이 29일 공직사회에 호남지역 일부고교가 파벌을 조성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데 대해 강하게 경고하고 나서 그 배경과 귀추가 주목을 끌고 있다.
김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과거 군사정권시대에 경북고를 나온 사람은 무슨 특권이 있는 것처럼 행세했고 그 다음에 또 경남 쪽에서 그리고 서울의 어느 고교에서 또 그런 일이 생겼으며 요새는 호남 일부 고등학교에서 약간 이런 경향이 보이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건 참으로 용서할 수 없는 일"이라면서 "오늘까진 참겠지만 오늘 이후에는 책임을 져야 한다"고 톤을 높였다.
김 대통령이 이처럼 국무회의 석상에서 '호남 일부 고교'라고 적시한데 이어 이날 민주당 선대위 간부들과의 조찬에서도 지역주의 극복을 당부했고 이억수 신임 공군참모총장 보직신고를 받으면서도 지연이나 학연 등 정실인사 근절을 각별히 당부하면서 여권내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김 대통령이 이처럼 특정 고교 인맥을 공개적으로 경고한 것은 정권출범 때인 지난 98년초에 이어 이번이 두번째다.
김 대통령의 이날 발언은 최근 정부내 핵심요직을 비롯 금융, 기업 등 경제계에서 조차 호남편중인사 시비가 증폭, 지역감정이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총선에 임박, 큰 악재로 작용하고 있는데 대한 우려 때문에 나온 것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는 여당의 총선 공천과정에서는 물론 최근 각 부처인사 및 총선후 개각을 앞두고 특정 고교의 파벌조성 동향이 심상치 않았기 때문이었다는 추측도 있다.
요즘 정가에서는 호남인맥의 득세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인데도 김 대통령이 이를 외면하고 있는지 정보차단으로 대통령만 모르고 있는지 라는 다양한 억측들이 흘러다니고 있었다. 김 대통령이 28일 대구 방문 때도 지역주의 타파를 외치면서 "현 정부는 공평한 인사를 하고 있다"는 식의 주장을 펴 야당으로부터 거센 비판을 받기도 했다.
김 대통령이 지목한 호남의 일부 고교란 광주일고, 광주고, 전주고, 목포고 등 호남지역의 명문 고교들을 총칭했을 것이란 짐작이 우세하다.
한편 공교롭게도 이날 청와대에서는 이만의 공직기강비서관과 정영식 행정비서관을 맞바꿨다. 이 비서관은 직속상관인 신광옥 민정수석비서관과 광주고 동문이다.李憲泰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