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 이중잣대로 조작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민주당이 한나라당 측의 호남편중 인사론에 대해 연일 강력 반박하고 있다. 야당 측 공세를 조기에 차단하지 않을 경우 최근 심화되고 있는 지역감정론과 맞물려 더욱 확산됨으로써 총선 악재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 때문이다.

당은 5일 인구통계 자료까지 제시한 보도자료를 통해 야당 측 주장을 조목조목 비판하고 나섰다.

골자는 한나라당이 영.호남 인구수를 비교할 때는 거주지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한 반면 고위 공직자의 출신 비율에선 본적지를 토대로 하는등 이중적인 잣대를 통해 지역편중인사론을 통계적으로 교묘히 조작했다는 것이다. 우선 고위 공직자에 취임하는 40세 이상의 본적지별 인구를 비교하면 영.호남간에 1.3대 1에 불과하며 실제로 지난 95년 인구센서스 결과에서도 출신지 기준으론 영남이 호남의 1.5배 수준 정도로 밝혀졌다.

결국 편중인사가 되려면 본적지 기준으로 영남출신 공직자가 호남의 1.3배 이하이거나 출생지 기준으로 영남출신이 호남의 1.5배 이하일 때만 가능하다는 논리다. 당 측은 그러나 이같은 기준을 적용할 경우 현 정권 출범 이후 영남출신 공직자의 비율이 호남의 1.3~1.5배 이하로 양측간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고 있다고 반박했다. 즉 과거 정권하의 영남편중 인사가 현재 시정돼 가고 있는 추세라는 주장이다.

당은 거주지별 인구분포와 관련해선 대구.경북 11.5%, 부산.울산.경남 17.2% 등 영남권이 호남의 11.7%에 비해 2.45배 많은 것은 사실이나 70년대 이후 산업화 과정에서 수도권 인구 급증으로 호남권 인구가 이탈하면서 빚어진 데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60년대 까지만 해도 인구 평차가 1.29대 1정도였다는 것이다.

徐奉大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