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20일 권노갑(權魯甲) 고문과 이인제(李仁濟) 전 선대위원장을 상임고문에 임명한 것은 총선 기여도를 고려하고 당무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려는 포석으로 풀이된다.
나아가 여소야대 정국을 맞아 정치권에 적지않은 영향력을 갖고 있는 두사람에게 공식적인 당직을 부여, 일정한 역할을 맡김으로써 여권의 울타리와 행동반경을 넓히려는 뜻이 담긴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권 고문은 총선 불출마 선언뒤 당의 선거조직을 막후에서 진두지휘했고, 이 전 위원장도 유세전을 총괄지휘하며 나름대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뒀지만 당무위원이란 타이틀밖에 없어 당무에 계속 참여할 명분이 없는 상태였다.
권 고문에 대해서는 여권 일각에서 청와대 정치특보 임명설이 제기되기도 했지만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게 부담이 될 수 있는 만큼 상임고문 임명이란 절충안을 통해 막후활동을 공개화, 공식화했다고 볼 수 있다.
또 이 전 위원장에 대해서도 총선기여도를 고려해 당의 의사결정에 적극 참여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지도부 방침에 따라 지도위원 등 여러 당직설이 나왔지만 '격'의 문제 등을 고려해 최종적으로 상임고문으로 낙착됐다.
민주당은 이들의 당직임명을 계기로 격주로 열리던 확대간부회의를 주 2회로 늘리는 한편 고문단 연석회의로 확대 개편해 개최키로 하는 등 회의형식을 일부 조정했다.
또 김영배(金令培) 김운용(金雲龍) 민경배(閔庚培) 이만섭(李萬燮) 조세형(趙世衡) 상임고문과 함께 추가로 임명된 두 고문에 대해서도 당사에 상주 사무실을 제공해 활동근거를 마련해줬다.
여권에서는 두사람이 호흡을 맞추며 야대(野大) 의회와 맞서야 할 집권당을 뒷받침할 경우 상당한 힘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권 고문은 지난달 이 고문의 후원회 축사를 통해 "21세기 한국을 책임질 수 있는 지도자"라고 적극 추켜세웠으며 이 고문도 선거가 끝난후 '낮은 자세'를 취하며 김 대통령을 적극 보필하겠다는 자세를 취해오고 있다.
당 일각에서는 최근 동교동계와 이 고문간에 '밀월설'이 제기되는 상황에서 두사람이 상임고문으로 임명된 것은 협력관계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는게 아니냐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