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사내는 어데서 왔느냐 저 사내는 어데서 왔느냐…' 알 듯 모를 듯한 시구, 다의적 해석이 가능한 모호성. 이상(李箱) 시(時)의 특징이다. 그는 '나는 나의 문자들을 가둬버렸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일탈을 추구한 그에 경도된 젊은 작가 이상선(31)씨는 이상과 정서적인 공감대를 갖고 있는 듯 하다.
22일부터 30일까지 공산갤러리(053-984-0289) 기획전으로 열리고 있는 그의 전시회는 이상을 텍스트로 성적 욕망과 소외를 통한 삶의 부조화를 표현하고 있다. '데드 마스크'에는 연인과 더불어 춤을 추면서 죽음의 이미지를 내비치는 한편 보색 대비로 더 두드러져 보이는 붉은 색면과 관음증을 상징하는 문과 통로 등이 묘사돼 있다.
평면작품 외에 '나는 장난감 신부와 결혼한다'라는 제목의 평면설치 작업도 선보인다·아파트의 형상을 재현, 각 방에 여체의 단면을 그려 넣은 작은 패널을 설치하고 좌우로 남녀의 실루엣을 배치함과 동시에 이 부분을 칼로 도려내 패널에 생긴 구멍과 이어지게 했다. 이 작업들은 직업상 여러 남자를 공유한, 기생 금홍을 아내로 둔 이상의 처지를 떠올리게 한다.
경주 출신의 작가 이씨는 서울산업대, 독일 슈투트가르트 대학원을 나와 서울에서 활동하고있다.
金知奭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