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근로자들의 노동시간이 국제노동기구(ILO) 회원국 중 7번째로 길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에서는 가장 긴 것으로나타났다.
25일 민주노총이 99년도 ILO 노동통계연감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제조업을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의 노동시간은 주당 50시간(99년 기준)으로 비교대상 75개국 중 요르단(58.3시간) 이집트(57시간) 수단(56.1시간) 스리랑카(54.7시간) 마카오(51.8시간) 터키(51.2시간)에 이어 7번째로 긴 것으로 조사됐다.
프랑스, 호주, 독일 등 주요 선진국은 40시간 미만이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제조업 노동시간은 지난 90년 49.8시간으로 처음 50시간 미만으로 떨어진 뒤 98년에 외환위기에 따른 경기침체로 46.1시간으로까지 줄어들었으나 99년에 다시 50시간으로 늘어나 10년전 수준으로 후퇴했다.
이와 함께 OECD 29개 회원국과 비교한 결과, 취업자 기준으로 우리나라의 노동시간은 98년 현재 연간 2천612시간으로 1400~1900시간인 대부분의 나라는 물론 2위인 체코의 2천70시간에 비해서도 거의 600시간 가까이 많은 최장시간을 기록했다.ILO 통계에 나온 75개국 평균 노동시간은 41.7시간.
민주노총은 또한 지나치게 긴 노동시간으로 인해 근로자 1만명당 산재사망자 수도 한국이 3.33명으로 미국(0.05) 일본(0.1) 독일(0.8)은 물론 태국(1.17) 싱가포르(1.56) 멕시코(1.2)보다도 훨씬 높게 나타나고 있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이에 따라 법정 근로시간을 현행 주당 44시간에서 40시간으로 줄이고 주 5일 근무제를 즉각 시행할 것을 촉구했다.
노동부는 이와 관련 "선진국과 비교해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긴 것은 사실"이라며 "노사정위원회가 근로시간 단축문제를 논의키로 한 만큼 노사정 합의만 이뤄진다면 정부는 즉각 제도개선을 추진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노사정위는 이날 오후 한국경총, 전경련, 한국노총 등 노사관계자와 정부측이 참석한 가운데 상무위원회를 열고 앞으로 근로시간 단축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키로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