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모뎀 속도저하 원인, 환경.구내배선 불량이 주범

초고속인터넷 서비스가 빠르게 보급되고 있지만 아직 대다수 네티즌들은 모뎀을 통해 통신에 접속한다. 그러나 모뎀으로 인터넷이나 PC통신을 이용하다 보면 속도나 접속률 때문에 속이 상할 때가 한두번이 아니다. 특히 014XY 번호로 연결할 경우 접속 자체가 어려운데다 가까스로 접속이 되도 도중 끊어지는 일이 다반사다.한국통신 데이터통신국(국장 여상근)은 최근 014XY 통신 접속품질을 조사한 결과 모뎀 환경이나 구내배선을 바꿀 경우 품질이 크게 나아질 수 있다고 밝혔다. 다음은 조사 결과 통신속도나 접속률을 낮추는 주원인으로 밝혀진 것들이다.

#56K 모뎀의 펌웨어 업그레이드

56K 모뎀의 경우 윈도에서 사용되는 모뎀 펌웨어의 문제로 고속서비스(01412, 01414, 01432 등)에 아예 접속조차 안되는 경우가 많다. 서비스망은 56Kbps를 지원하는데 모뎀이 낮은 버전으로 지정돼 있어 33.6Kbps 정도의 속도 밖에 나오지 않는 것.

당초 56K 모뎀기술은 미국 3COM사의 X2방식과 락웰 및 루슨트사의 K56플렉스방식의 양대 줄기로 발전해 오다 지난해 ITU(국제통신연맹)가 56K 모뎀 표준규격을 확정, V.90으로 이름붙였다. 국내에서 사용하는 상당수 모뎀 중엔 56Kbps 지원이 안되는 V.90 초기적용 모델이 많다. 이는 펌웨어를 통해 업그레이드 해줘야 제 속도를 낼 수 있다.

업체별로 펌웨어 업그레이드 가능 또는 불가능 여부를 자사 홈페이지에서 알려주고 있다. 제품에 따라 통신상에서 펌웨어를 다운받아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것이 있는가 하면 아예 업체 대리점 등에 찾아가 메모리를 교체해야 하는 것도 있다.쭓구내 배선 불량으로 인한 전자파

가정용 전원선에 의해 속도 저하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전기, 전화 배선을 분리해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콘센트에 꽂아 사용할 경우 전기선에서 발생한 전자기파가 통신속도를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또 컴퓨터 전원 사용시 접지가 안된 멀티콘센트에 꽂아 사용하면 컴퓨터 내부 팬모터 등에서 나오는 잡음이 모뎀 기능에 영향을 끼친다. 이들 잡음은 일반 음성통신을 할 경우엔 별 지장을 주지 않지만 미세한 잡음에도 민감한 데이터 통신을 할 경우엔 접속이나 속도를 좌우하는 결정적 장애가 될 수도 있다.

#모뎀 자체의 성능

모뎀과 컴퓨터의 상관관계에 따라 통신 품질에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모뎀은 기능에 따라 컨트롤러 내장모뎀, 호스트 컨트롤러 의존모뎀(윈모뎀), 소프트모뎀 등 3가지로 나뉜다. 이들의 차이점은 모뎀 기능을 컴퓨터의 CPU가 부담해야 하는 정도. 예를 들어 윈모뎀은 펜티엄 166MHz 이상, 소프트모뎀은 펜티엄 MMX 233MHz 이상 기종에서 제 성능을 발휘한다. 모뎀에 맞는 컴퓨터 사양을 제공하지 않을 경우 속도는 떨어진다.

또 고객측 모뎀과 통신서비스 제공업체측 모뎀과의 호환성도 통신속도를 좌우하는 중요한 변수 중 하나다. 한국통신의 경우 모뎀간 호환성면에서 3COM사 칩을 사용한 모뎀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미국내 56K 관련 인터넷사이트(www.808hi.com/56k)는 칩에 따른 성능이 3COM, 루슨트, 락웰 순이라고 밝혔다.

#옥내 배선 불량 및 구내교환기 사용

여러 대의 전화기를 한꺼번에 사용하는 경우 전화기를 따로 떼어낸 뒤 속도를 측정해 볼 필요가 있다. 전화회선 자체가 낡았거나 규격품이 아닌 연결잭을 사용할 경우도 속도에 영향을 준다. 각 가정에서 전화국까지의 회선 상태를 점검해 보고 싶으면 한국통신 회선점검요청 번호(국번없이 100번)로 신청하면 된다. 한편 구내교환기 사용자의 경우 속도가 떨어진다. 구내교환기를 통해 56K 접속을 시도할 경우 아날로그에서 디지털로 변환하는 과정을 두 번 거치기 때문에 최대 33.6Kbps의 속도 밖에 나오지 않는다. 金秀用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