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팀이 인체 세포에서 일어나는 노화현상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새로운 단서를 찾아냈다.
서울대의대 생화학교실 박상철 교수팀은 세포에서 노화가 진행될 때 세포벽에 카베올린(caveolin) 이라는 단백질이 증가하고 이 물질이 세포의 신호전달체계를 방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27일 밝혔다.
연구팀은 이 연구결과를 생화학 분야 국제 학술지인 '저널 오브 바이오로지컬캐미스트리(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최신호에 발표했다.
이 연구결과는 세포의 노화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밝힌 것으로 세포 노화를 막거나 암세포에 노화를 일으켜 암을 치료하는 방법 연구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세포막의 변화가 세포 노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발견하고 그 메카니즘을 밝힌 것"이라며 "세포 노화와 관련된 질병치료와 항노화 연구 등에 기초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