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정부 압박,시장 불신 무릎

현대가 현대투신증권 경영정상화 방안을 놓고 고심끝에 정몽헌(鄭夢憲) 그룹 회장의 사재출자라는 카드를 던졌다.

현대는 지난달 25일 정부가 현대투신증권의 연계차입금 3조2천억원을 연내 해소하라는 주문을 하면서 시작된 현대투신 경영정상화 파문이 발생한 지 8일만인 3일 저녁부터 정부측의 요구를 일정 부분 수용하는 안을 마련, 4일중 발표할 예정이다▨입장 선회 배경 = 정부의 강력한 압박와 시장의 불신을 더이상 거스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이기호(李起浩) 경제수석은 지난 1일에는 현대투신의 유상증자시 실권주를 총수가 인수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가 현대측이 반발하는 조짐을 보이자 3일에는 현대가 현대투신의 자본잠식금 1조2천억원을 총수와 계열사들이 분담해 책임져야 한다는 최종입장을 내놓았다. 이용근(李容根) 금융감독위원장도 연일 현대투신 대주주와 총수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이런 상황에서 국세청 세무조사, 공정거래위 부당내부거래 조사 등이 진행중이어서 자칫 현대투신 문제를 장기화할 경우 현대 오너 전체에 어떤 불똥이 튈지 모른다는 위기의식이 현대 내부에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시장의 불신도 현대측의 선택을 유도했다. 현대측이 아무리 총수가 현대투신과는 직접 관련이 없다고 주장해도 증시에서는 현대 주가의 하락이나 약보합세가 계속됐다. 경영권 분쟁 이후 현대에 대한 시장의 불신이 워낙 깊어져 총수가 스스로 나서지 않고서는 시장 불신을 돌이킬 수 없다는 판단이 내려진 것으로 풀이된다.▨총수 사재 출자 내용 = 현대가 현재 검토중인 방안은 정몽헌 회장의 비상장주를 현물로 현대투신에 출자하는 방안이다. 정주영(鄭周永) 현대 명예회장과 정몽구(鄭夢九) 현대.기아자동차 회장의 사재는 포함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측은 정몽헌 회장의 사재출자 규모를 1천억원 가량으로 잡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현대택배 지분 21.9%(177만3천331주)가 사재출자의 대부분을 이룰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현대는 ▶2000 회계연도내 현대투신의 자회사인 현대투신운용을 코스닥에 등록한 후 지분을 매각, 7천억원의 자본이득을 취하는 방안 ▶올 10, 11월중 외자유치로 2천억원을 확충하는 방안 ▶연내 경상이익 4천억원 등을 통해 1조3천억원을 확충할 계획이다. 여기에다 현대투신의 일반 공모를 통한 4천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도 내년초 실시할 계획이다.

▨전망=정부에서는 아직 현대측의 입장을 공식적으로 듣지 않았으나 미흡하다는 입장과 총수의 노력을 인정하되 시장 반응을 살펴봐야 한다는 반응으로 엇갈리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만에 하나 정부가 현대측의 발표내용에 대해 퇴짜를 놓을 경우에는 현대는 더욱 큰 고민에 빠지게 된다. 그러나 현대주가가 오르고 주식시장 전반이 호조를 보일 경우에는 정부가 무리수를 둬가며 현대를 압박할 가능성은 낮아보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