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 각구청 재정난 불구 대형시설 건립 몰두

대구 각 구청이 IMF사태로 재정이 바닥나 수백억원씩의 빚을 내는 형편에 '선거 공약 이행, 과시용 행정'에 급급해 예산의 대부분을 각종 대형시설 건립에 퍼붓고 있다.

시민들은 "경제위기가 아직 계속중인 상황에서 각 구청이 당장 눈앞에 보이는 예산집행 효과와 구청장 업적위주에 집착할 게 아니라 예산투자의 우선순위를 조정해 주민들의 생계와 관련한 사업에 눈을 돌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북구청은 구비 50억원을 포함, 156억원을 쏟아부어 지난해 문화예술회관을 건립한 데 이어 올해말 완공예정으로 청소년수련관 건립에 구비 50억원 등 126억의 예산을 쓰고 있다.

이로 인해 주민 생계지원, 도로건설, 골목길 정비 등의 주민숙원사업에 쓸 예산이 바닥나자 지난해 말 연리 7.5%의 이자를 물며 대구시지역개발자금 80억원, 공공관리기금 20억원 등 100억원의 빚을 냈다.

5월 현재 빚이 239억원에 이른 서구청은 타 구청에서 청소년회관을 세운다는 이유로 69억원의 거액을 들여 내년 9월 완공 목표로 청소년회관을 짓고 있다.

동구청은 지자체에 스포츠센터 및 문화회관 건립 붐이 일자 올해 188억원의 막대한 예산을 들여 동촌유원지 일대에 스포츠센터와 문화회관을 건립키로 했다.

달서구청도 앞산 구민문화센터 110억원, 낙동강 공원개발 사업 20억원, 장기동 노인복지회관 70억원, 월곡역사공원 조성 및 어린이공원 재개발사업 9억원 등 기능이 중복된 사업에 올해 전체 예산의 10%에 달하는 209억원을 쏟아부을 예정이다.중구청도 지난해 구청사매입비 81억원, 7개 동사무소 신축비 10억원 등 91억원을 시중은행 등에 빚을 내 조달했다.

각 구청은 이처럼 '대외과시용'사업에 수백억원대의 예산을 쏟아붓는데 비해 주민들이 꼭 필요로 하는 사업에 대한 예산지원은 '푼돈'에 불과한 실정이다.

한 구청의 경우 올해 예산내역중 노숙자특별보호비 550만원, 저소득 부자가정지원 2천만원, 장애인의료비 2천500만원, 소년소녀가장보호비 4천60만원, 저소득 모자가정지원 1억1천여만원 등이 고작인 것으로 나타났다.

李鍾圭기자 jongku@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