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러시아 푸틴정부가 이상하다

푸틴 대통령 취임 이후 러시아에 적잖은 변화의 조짐들이 계속되고 있다. 언론 통제가 본격화되는 징후들이 있는(본지 13일자 보도) 가운데, 지방정부 통제 강화조치가 내려졌는가 하면, 정계까지 변화의 예후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 때문에 우려돼 온 독재화가 시동되는 것 아니냐는 의혹도 일고 있다.

러시아는 지난 13일 전국을 7개 '연방지구'로 개편해 중앙집권을 강화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푸틴 대통령은 포고령을 발표, 몇개씩의 공화국.주 등으로 만들어지는 각 지구 대표는 자신이 임명할 것이라고 밝혔다.

크렘린궁 공보실은 이번 조치가 연방 정책이 지방에서 효과적으로 시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일단 크렘린 권력 강화 조치 중 하나로 파악되는 이번 조치가 시행되면 지구별로 대통령 특사가 파견돼 연방정부 정책 이행 상황을 감독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민간 방송 NTV는 "막대한 권력을 행사하고 있는 지역 지도자들을 통제하기 위한 것"이라며, 대통령과 지방 지도자들 사이의 권력 다툼이 치열해질 가능성을 주목했다. 이에 이틀 앞서 푸틴은 연방법과 배치된다며 몇개 지방정부의 일부 정책을 보류시킨 바 있다.

한편 정계 개편 움직임도 가시화돼 공산당 겐나디 셀레즈뇨프 하원 의장 등 좌파 일부 지도 세력이 공산당과 별도의 '중도좌파' 세력을 구축할 움직임이다. 이들은 '러시아 민중연합당'(SNR)을 만들 것으로 알려졌다. 중도좌파 세력 통합 움직임 배후에는 푸틴 대통령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반면 체르노미르딘 전 총리는 "보수성향의 단일 중도우파 구축을 위해 친크렘린계 단합당과 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발표했다. 그는 "중도좌파.중도우파 각 1개 정당씩으로 모든 세력이 통합될 여건이 성숙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