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대구시민회관에서 열린 '산.학.연 공동기술개발 컨소시엄사업 발표회'를 겸해 열린 제1회 산학연 대구대회에 출품된 작품들은 호평을 받기에 충분했다.
이미 상품화에 성공해 수출까지 하는 제품이 있는가 하면 특허를 출원중이거나 상용화를 눈 앞에 두고 있는 작품 등이 대부분이어서 참석자들의 눈길을 끌었다.
가장 관심을 끈 과제는 계명대 산학연 컨소시엄센터가 출품한 '음향컨디셔너'와 '토목공사용 진공 펌프'.
물리학과 김규택 교수와 진성산업이 공동개발한 이 상품은 공간 음향에 대한 독자기술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금까지 외국 음향 업체가 국내 시장을 독점해 오던 것을 이 업체의 기술로 상품 보급이 가능해 연간 500억원의 수입대체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는 것.
토목공사용 진공펌프(토목공학과 정연인 교수, 대양기계공업사 공동개발)는 주위 환경 및 자연 훼손을 최소화 하는 고효율 수봉식 습식진공펌프란 평가를 받았다.영진전문대의 'S-Type 레피아 직기'의 국산화 개발(전자정보과 이종철 교수, 세기보청기)과 '청감보정 모듈의 파라메타에 의한 프로그래머 보청기' 개발도 호평을 받은 상품. 전자는 성형용 금형 및 조립치구를 사용하여 제작 및 조립 정밀도를 향상시켜 수입레피아와 비교할 때 성능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다. 후자는 개인의 청력 보정이 있을 시 재보정을 할 수 있는 디지털형 보청기라는 품평.
영남이공대학의 '플래스틱 사출제품의 자동취출 및 폐스크랩 자동분쇄 이송장치'(기계과 김종주 교수, 태영화학)와 '자동분쇄기'(기계과 황남성 교수, 협신메디칼)등 2개의 제품도 향후 시장 지배력이 큰 상품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았다.
崔正岩기자 jeonga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