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일본군도 6.25 참전, 미 인천상륙때 지원 요청

일본이 한국전 당시 미군을 도와 한반도와 본토에서 상륙작전 및 세균전에 참여했다는 주장이 최초로 국내에서 공식 제기됐다.

창원대 사학과 도진순(都珍淳) 교수는 10일 한국역사학회(회장 방기중 연대 사학과 교수) 주관으로 시내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한국전쟁 50주년 학술심포지엄'에서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전(1950~1953년) 당시 일본은 점령군으로 주둔하던 맥아더 사령부와 자국의 국익을 감안, 인천 및 원산 상륙전때 소해정(掃海挺) 수십척을 파견, 미군의 상륙작전을 지원했다고 말했다.

도 교수는 '화해와 통일을 위한 전쟁인식의 과제'란 제목의 주제발표에서 일본은 전쟁초기 당시 한국의 지리사정에 어둡던 주일미군의 요청으로 구일본군에서 근무하다 해상보안청으로 편입된 해군병력과 소해정을 투입, 50년 9월 미군의 인천상륙작전과 10월의 원산상륙작전에서 해상 기뢰제거 작업을 벌였다고 미국과 일본에서 발간된 자료를 인용, 주장했다.

도 교수는 작년 발간된 '미국과 세균전' (The United States and Biological Warfare, 미 인대애나대 출판부 간행, 스티븐 에디코트-에드워드 행어만 공저)이란 책자에 따르면 1950년 10월 미국 합참은 다음해 말까지 세균전을 실행할 수 있는 준비를 갖추도록 예하부대에 지시했으며 51년 10월에는 구체적 작전단계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한편 북한측도 그동안 인천상륙작전에 일본군 6천명 정도가 미 제7보병사단과 10군단 산하 수개 사단과 연대에서 참전했다고 주장해왔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