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초 배럴당 10달러선이던 국제유가가 최근 32달러에 육박하고 있다.불과 1년사이에 3배이상 올랐다. 걸프전 이후 최고로 오른 현재의 유가는 사실상 오일쇼크나 다름없지만 1.2차 오일쇼크와 걸프전 때의 단기간 급등과는 달리 지난 1년동안 지속적으로 인상돼 국민들의 체감 정도가 약하다. 그러나 매일 전세계적으로 200만배럴씩 수요보다 공급이 모자라고 있는 것이 원인인 현 고유가체제가 앞으로 크게 나아지리라 생각하는 사람들은 많지않다.
우리는 더욱 걱정이 앞선다. 우리 에너지 소비는 세계적인 수준이다. 매년 쓰는 에너지 소비량은 세계 10위이고, 석유 소비량은 6위이며 지난해 우리가 수입한 원유는 무려 8억7천만배럴이 넘는다. 국민 1인당 에너지소비를 봐도 우리보다 경제규모가 10배나 되는 일본과 비슷할 정도이고 에너지 수입액이 전체 수입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를 넘고 있으니 에너지를 너무 헤프게 쓰고 있음은 틀림없다.지금 같은 고유가시대에 우리처럼 에너지를 많이 쓰는 나라는 더욱 큰 타격을 받는다. 쉬운 비유로 국제육가 1달러 오르게되면 원유 수입 증가액만 8억7천만달러가 더 소요되고 원가상승으로 인한 수출감소까지 합하면 연간 10억달러 이상의 무역수지 적자가 발생한다. 뿐만 아니라 국내유가 인상을 시작으로 소비자 물가가 0.1% 오르게 된다. 단 1달러만 올라도 이 정도인데 지난 일년간 20달러 이상 올랐으니 우리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너무나 크다.
우리는 에너지 97%이상을 수입 의존하는 에너지 수입국이다. 고유가를 극복하는 길은 결국 에너지소비를 줄이는 수밖에 없다. 그러나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꼭 필요한 곳에 필요한 양만큼만 사용하는 지혜와 실천노력이 필요하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