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7년부터 3년동안 대보폐기물매립장 사태로 골머리를 앓았던 포항시가 또 폐기물매립장 민원으로 한바탕 홍역을 치를 조짐이다. 특히 이번 폐기물 건은 포항시와 시의원들이 묵시적으로 동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 포항시장과 대부분 시의원이 반대했던 대보폐기물매립장과는 양상이 달라 허가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주)일신환경산업은 지난달 8일 포항시를 방문, 호동 쓰레기매립장 옆에 폐기물매립장을 건설하겠다며 도시계획재정비에 포함시켜 줄 것을 요청, 시는 같은 달 18일 재정비안에 이를 수용, 공고했다. 회사측의 서류 접수에 이어 시는 현재 각 부서별로 개별법 저촉 여부에 대한 확인 작업중이다. 민원 처리 기한은 오는 28일까지.
시에 따르면 폐기물매립장 부지는 5만1천평이며 이중 2만3천평이 매립장으로 사용된다. 전체 부지중 60%인 3만300평 정도는 시유지. 완공되면 마지막으로 덮을 복토 30만t과 90만t의 폐기물 등 120만t을 매립할 수 있다.
일신환경산업이 추진중인 이 사업에 대해 시는 엄청난 포항지역 폐기물 발생량으로 볼때 어차피 누군가는 해야 하는 것인 만큼 일단 긍정적인 방향으로 가닥을 잡아가고 있다. 시의회 또한 일부 시의원 등이 "주민 의견 수렴도 않고 느닷없이 폐기물매립장 사업을 고시하려 하느냐"며 문제 삼았으나 다수의견에 밀렸고 결국은 상임위를 통과, 사업자 의도대로 고시됐다.
의회 내에서조차 한목소리로 반대했던 대보폐기물매립장건과는 양상이 완전 다르다. 의원들의 의견은 호동쓰레기매립장 인근은 사실상 혐오시설 아니면 별달리 할 것이 없는데다 이곳에 그런 사업을 할 수 없으면 포항지역 어느 곳에서도 폐기물 사업은 할 수 없을 것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오천·대송·청림·제철동 주민들은 "가뜩이나 쓰레기매립장 등으로 땅값이 하락하고 개발이 저조, 피해가 큰데다 사전 공청회 조차 없이 일을 추진, 감쪽같이 속았다"면서 각 동별로 반대대책위를 구성한데 이어 연합체 결성을 서두르고 있다. 이들 4개 읍·면지역 인구가 7만이나 돼 이들이 적극적으로 반대하고 나설경우 큰 파문이 예상된다.
특히 주민들은 시의회 모 상임위원장이 문제 삼지 말도록 의원들을 설득하고 다녔다는 얘기를 전해듣고 시의원이 본업은 제쳐두고 로비스트로 전락, 시민을 우롱했다며 비난하고 있다. 또 사업 신청한 업체가 대보폐기물매립장을 추진하다 중도 포기한 회사가 이름만 바꾼 것이라고 주장하고 포항시와 업자가 한통속이라며 비난했다.
정장식 시장은 지난 1월 대보폐기물매립장 사업 연장 불허처분을 하면서 업자에게 타 사업부지를 찾으면 적극 지원해주겠다는 등의 3개항을 제안한 적이 있다.
이에 대해 포항시 관계자는 "환경부 지침에 '폐기물처리시설이라는 이유로 주민이 반대한다고 민원을 불허처분할 수 없다'고 규정돼 있다"며 "사전 공청회 등은 법규에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또 "내년말쯤이면 현재 가동중인 폐기물매립장은 모두 포화상태가 돼 외지로 반출해야 한다"며 "이경우 운송비가 엄청나 그 부담은 고스란히 기업주에게 돌아가 경쟁력 약화 요인이 될 것"이라면서 대체 사업장 추진은 지금도 늦은 감이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대송면 등 4개 읍·면 주민들은 오는 28일까지 처리가 불가피한 최종 적정 통보 결정에 앞서 시를 압박하기 위해 전력투구한다는 방침이어서 시와 주민들간의 물리적인 충돌이 우려된다.
포항·崔潤彩기자 cychoi@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