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피부에는 땀을 만드는 땀샘이 있고, 만들어진 땀을 배출하는 '한관'이라는 것이 있다. 기온이 올라가면 체온 상승을 막기 위해 우리 몸은 땀을 내 놓는다. 또 한관에서는 땀속의 소금기를 재흡수, 한낮에 흘리는 땀으로 인한 소금의 소실을 막는다.
그러나 한관의 어느 부분이 막혀 땀이 피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면 한관이 파열된다. 이것을 땀띠라고 한다.
땀띠는 치료하는 것 보다 예방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에어컨이나 선풍기로 땀을 증발 시킨다든가, 차가운 물로 샤워를 해 열을 식혀 줘야 한다. 또 피부가 접힌 부위의 땀을 흡수한다고 손수건을 감아 두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니다.
땀띠분이라 불리는 파우더를 사용할 때도 조심해야 한다. 땀띠분은 분으로 남아 있을 때까지만 예방 효과가 있고, 습기 차 젖어지면 피부에 자극을 주게 된다. 땀띠분이 땀에 젖으면 바로 물로 씻어 내야 한다.
일단 땀띠가 생기면 서늘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약간 차가운 물로 목욕을 하면 가려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다.
땀띠가 생긴 곳에 땀띠분을 바르는 것은 권장할만 하지 못하다. 특히 땀띠 치료 연고나 오일, 로션 등을 바른 후 바로 파우더를 바르는 것은 피해야 한다. 끈저끈적한 떡처럼 달라 붙어 상태를 더 악화시킨다.
소금물로 피부를 문질러 주면 땀띠에 효과적이라는 속설도 있다. 그러나 소금물은 피부에 손상과 통증만 준다. 피해야 한다.
나건연 과장 (파티마병원 피부과)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
조국 "오세훈 당선, 제가 보고 싶겠나…내년 선거 피하지않아, 국힘 표 가져올 것"
강득구 "김현지 실장 국감 출석하려 했는데, 국힘이 배우자까지 부르려"
삼국통일 후 최대 국제이벤트 '경주 APEC' 성공(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