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상반기 주류판매 실적

올 상반기 맥주와 양주 소비는 늘어난 반면 '대중주'인 소주소비는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주류공업협회에 따르면 상반기 국내에서 출고된 맥주는 모두 87만1천250㎘(8천712만 5천상자)로 작년 같은 기간의 77만2천152㎘(7천721만5천200상자)보다 12.83%(999만상자)가 늘어났다.

업체별로는 하이트맥주가 4천676만상자를 출고해 전년동기의 3천773만 상자보다 23.91% 증가했다. 다음으로 OB맥주가 2천721만상자로 2천652만상자의 출고실적을 보인 작년 같은 기간보다 2.63% 늘어났다. 또 OB에 인수된 카스맥주도 작년 전반기엔 1천295만상자를 출고했으나 올 상반기엔 1천314만상자의 출고실적을 기록해 1.47%의 증가세를 보였다.

같은 기간 양주출고량은 259만8천321상자로 전년 동기의 194만1천243상자보다 33.85%(65만7천78상자)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업체별로는 '윈저'생산업체인 두산씨그램이 97만8천134상자로 전년동기의 77만3천670상자보다 26.43% 증가했으며 다음으로 '임페리얼'생산사인 진로발렌타인스가 75만1천505상자로 11.9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딤플'수입업체인 하이스코트도 작년 상반기엔 40만8천727상자를 출고했으나 올 상반기엔 71만1천848상자의 출고량을 기록해 74.16%의 증가세를 보였다.

양주는 원액숙성기간이 12년산 이상인 '프리미업급'제품의 출고량이 전체시장의 8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나 국내양주시장의 고급화가 가속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반면 소주의 출고량은 작년보다 크게 줄었다. 지난 5월말까지 출고한 소주(면세품 포함)는 모두 3천31만4천436상자로 전년 동기보다 17.3%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진로가 1천554만9천852상자로 전년동기 대비 11.8% 늘어난 반면 두산은 '미소주'의 판매부진으로 같은 기간 290만59상자 밖에 출고하지 못해 전년 동기대비 56.3% 감소했다. 금복주 역시 같은 기간 285만 2천391상자를 출고해 25.8%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맥주·양주의 소비증가는 고급술 수요가 늘어난 데다 맥주 주세는 130%에서 115%로, 양주 역시 100%에서 72%로 주세가 내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소주는 고급술 수요 증가에 따른 판매부진과 기존의 35%였던 주세가 오히려 72%로 높아졌기 때문인 것으로 업계는 풀이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