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대건설 또 위기설

현대건설이 다시 위기설에 휘말리고 있다. 지난 5월 유동성 위기때 금융권의 지원으로 간신히 위기를 넘겼던 현대건설은 지난 24일 신용평가회사인 한국기업평가의 신용등급 하향조정으로 다시 고비를 맞고 있다.

이에 대해 정부는 현대건설에 대한 법정관리나 워크아웃 가능성은 전혀 없다며 진화에 나섰으나 시장의 시각은 점차 싸늘해지고 있다.

▲재연된 자금난=한기평이 현대건설의 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한 지난 24일은 현대건설에 1천300억원의 기업어음과 회사채의 만기가 돌아온 날이었다.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진 탓에 만기연장이 안되는 것은 당연했다. 결국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의 도움으로 막기는 했으나 제2금융권들이 만기연장을 거부해 매우 위험한 상황에까지 이르렀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연말까지 만기가 돌아오는 현대건설의 차입금은 총 1조6천778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현대건설은 현재 영업이 차질없이 되고 있어 이 고비만 넘기면 자금난은 해소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말을 액면 그대로 믿는다 해도 현대건설의 신용등급이 투기등급으로 떨어져 금융기관이 현대건설 회사채를 인수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해졌다는 점은 문제해결이 쉽지 않다는 것을 말해준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금융기관장들의 책임의식을 거론하며 대출금회수 등 쪽박을 깨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경고하고 나섰으나 2단계 금융구조조정을 앞둔 금융기관들에 이같은 경고가 먹힐지는 의문이다.

▲문제해결은 시장의 신뢰회복=정부는 은행권은 대출금 회수와 같은 사태가 나타나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제2금융권의 태도에 대해서는 자신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24일 사태에서 보았듯이 제2금융권을 중심으로 한 무차별적 대출금 회수가 나타날 경우 현대건설도 버티기가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다.

이같은 비관적 전망이 힘을 얻고 있는 것은 금융기관의 시스템상 투기등급으로 떨어진 회사채에 대해 만기연장을 해주기가 어렵다는 점 때문이다. 주채권은행인 외환은행도 바로 이점을 가장 걱정하고 있다.

또 현대가 5월 유동성 위기 당시 내놓은 1조4천800억원 규모의 자구계획도 실행에 너무 많은 시간이 걸린다는 점도 비관적 전망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결국 현대건설이 유동성위기에서 벗어나려면 현재로선 금융기관이 만기연장을 해주는 수밖에 없는데 이는 시장의 신뢰회복이 전제돼야 한다.

따라서 현대건설이 당장 유동성 위기를 해소하려면 5월 경영권 분쟁때 약속한 현대자동차 계열분리의 조속한 시행 등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작업의 신속한 추진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 금융계의 일치된 지적이다.

鄭敬勳기자 jgh0316@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