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망자 숫자 전체대상자 절반 이산상봉 확대 서둘러야

27일 방북대상 후보에 대한 북측 생사확인자 명단 공개로 8·15 이산가족 상봉에 대한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생사확인 명단 공개 결과 사망자 숫자가 전체 상봉대상자의 절반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나 이산가족 상봉 정례화 등의 대책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이번 명단공개에서 가족의 생사가 확인된 명단은 126명으로 나머지 12명은 가족, 친지의 사망으로 인해 상봉자가 없는 상태다. 때문에 이들 12명은 아예 가족 상봉의 희망을 접어야 할 상황이다. 또 추가 생사확인 작업을 벌이고 있는 62명도 8월초까지 얼마나 가족들의 생사를 확인할 수 있을 지 미지수다.

통일부 당국자도 이날 "남측 가족의 북한내 상봉 대상자중 46. 8%가 사망했고 확인 불가능한 숫자까지 합하면 66.9%에 이르고 있다"며 "고령 이산가족의 경우 점차 생존 가능성이 희박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 당국자는 또 "이런 추세라면 몇년 뒤에는 고령 이산가족 대부분이 숨져 이산가족 문제가 '자연스레' 해결돼 버리는 안타까운 상황이 연출될 것" 이라고 우려했다.

때문에 향후 이산가족 상봉의 확대 등 적절한 조치가 뒤따라야 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앞으로 적십자 회담을 통해 논의될 면회소 설치는 물론 우편물 교환 등의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정부는 이번 북측 생존자 명단 공개여부를 놓고 갈팡질팡 하는 등 혼선을 빚어 비난을 자초했다는 지적이다.

당초 정부는 이산가족 중 최종 방북대상에서 제외되는 사람들의 이중 고통을 감안해 북측 생사확인 명단을 추후 개별통지할 방침이었다. 그러나 북측에서 138명의 명단을 보내왔다는 소식을 들은 남측 이산가족들의 문의와 항의가 빗발쳐 정부는 끝내 명단을 전격 공개했다.

때문에 이번 명단발표와 관련해 정부가 이번 8·15 이산가족 상봉의 역사성과 중대성을 너무 안이하게 판단해 생각하다 혼선을 빚은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었다.李相坤기자 lees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