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그룹중 삼성을 제외한 나머지 그룹의 결합재무제표상 부채비율이 20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계열사간에 중복계산한 매출과 출자액을 빼면 4대그룹의 매출과 순익이 실제발표한 것보다 30∼50%이상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30일 재계에 따르면 현대는 국내 30개, 해외 77개 등 총 107개 법인을 대상으로 99년도 결합재무제표를 작성한 결과 부채비율이 229.7%로 밝혀졌다.
이는 개별 재무제표를 단순합산한 연결재무제표상 부채비율 181%보다 48.7%포인트 올라간 것이며 여기에 금융업을 포함시킬 경우 그룹 전체의 부채비율이 296%로 높아진다.
삼성은 부채비율이 195% 수준이지만 금융계열사를 포함할 경우 무려 45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LG의 부채비율은 260∼270%(금융사 포함 350%), SK는 220%(〃270%) 수준인 것으로 전해졌다.
연결재무제표상 삼성은 166%, LG 184%, SK 161%로 결합재무제표 작성에 따라 부채비율이 30∼80%포인트 올라간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4대그룹을 포함, 결합재무제표를 작성해야할 16개 그룹 대부분이 300%를 넘지 않을 것으로 알려졌다.
결합재무제표상 현대의 매출은 당초 발표보다 38% 줄어든 69조9천337억원이며 삼성도 실제 발표액보다 20% 가량 줄어든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현대는 지난해 순익규모를 2조원으로 발표했으나 금융부문에서 1조3천억원의 대우채 관련 손실이 드러나고 결합과정에서 내부거래 손익 등이 사라져 결합 당기순이익은 745억원에 그쳤다.
삼성, LG, SK도 20∼50% 가량 순익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재계에서는 대기업 계열사간 내부거래의 폐해를 줄이겠다는 결합재무제표의 도입 취지는 바람직하지만 결과적으로 부채비율이 올라가게 돼 기업의 대외 신인도가 떨어지는 부작용이 있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원장 탄핵 절차 돌입"…민주 초선들 "사법 쿠데타"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