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남북 두 아내 만남 이뤄질까

북에 각각 처자식과 아들을 두고 내려온 뒤 남한에서 결합해 살아오다 이번에 함께 방북단에 선정된 이선행(81·서울 중랑구 망우동), 이송자(82)씨 부부의 가족간 만남은 방북 이틀째인 16일에도 이뤄지지 않았다.

숙소인 고려호텔 객실에서 가족별 개별상봉이 있던 이날 남편 이선행씨는 "오늘은 가족끼리 더 시간을 갖고, 17일 마지막 개별상봉때 두 가족을 인사시키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씨 부부의 방은 같은 층이지만 각자의 가족끼리만 별도로 상봉이 진행됐다. 흩어진 가족끼리 정을 나누기에도 시간이 벅찼던 까닭이다.

이송자씨는 오전 10시께 객실을 찾아온 큰 아들 박위석(61)씨를 반갑게 맞이했다. 전날 첫 상봉때는 반세기만에 처음 보는 얼굴이라 다소 서먹했지만 두번째 상봉은 한결 달랐다.

박씨는 자신의 외손자(13)가 공부를 잘 해 인민학교 단위원장(학생회장)을 하고 있다고 자랑하기도 했다.

아들 박씨가 "남쪽에 내려가서 두분(이선행-이송자씨)이 혹시 북의 가족 때문에 사이가 나빠질까 걱정스럽다"며 "두 가족이 만나는 문제를 오늘 밤 다시 생각해 보겠다"고 말하자, 이씨는 "살아있는 걸 확인한 것만 해도 어딘데 그런 걱정을 하느냐"며 안심시키기도 했다.

같은 시각 이송자씨의 옆방에서는 남편 이선행씨가 북쪽 아내 홍경옥(76)씨, 장남 진일(56), 3남 진성(51)씨 등을 만났다.

이씨는 커다란 백지를 펼쳐놓고 북의 두 아들, 손자와 친척들의 이름을 도표처럼 그려가며 일일이 확인했다.

이씨는 "이게 우리집 새 족보"라며 실로 50년만에 함박웃음을 터뜨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