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산가족 상봉단의 일원으로 평양을 방문하고 18일 돌아온 남측 이산가족들은 잃었던 혈육들을 50년만에 다시 만난 기쁨에 대체로 밝은 표정들이었으나 이별의 아픔을 감추지 못했다.
이들은 한결같이 "다들 건강하게 오래살아 꼭 다시 만나기로 약속했다"면서 "이번 상봉이 서신왕래와 면회소 설치 등으로 이어져 1천만 이산가족들의 고통과 아픔이 해결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몽섭씨(75)=방북 첫날 아내와 딸을 만났을 때는 북측에서 '따로 떨어져 앉으라'고 한 데다 무슨 얘기를 할지 몰라 서먹서먹 했지만 차츰 얘기도 많이하고 서로 부둥켜안고 울기도 했다.
딸이 북한체제에 관한 얘기를 계속 반복해 기분이 상했지만 딸의 기분이 상할까봐 한귀로 듣고 한귀로 흘렸다. 아내가 50년동안 나만 기다리면서 살아왔는데 오래오래 살아서 통일되면 다시 만나 행복한 가정을 이루자고 다짐하고 왔다.
▶이찬우씨(69)=사촌동생들을 만나고 평양을 떠날 때 영원히 다시 못만날 것 같아서 발걸음이 떨어지지 않았다.
사촌동생들로부터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가슴이 찢어졌다. 사촌동생들이 큰아버지, 큰어머니 제사를 제대로 지내지 않고 있어서 서운한 마음이 들었다.
▶박용화씨(83)=50년만에 처음 만나니 누가 누군지 잘 알아보지 못하겠더라. 그동안 어떻게 살았는지, 아이는 몇이나 낳았는지, 주로 이런 얘기를 했다.
가족들을 만난 소감은 차마 말로 표현할 수 없다. 가족들이 그 긴 세월동안 어떻게 살아왔는지 생각하느라 평양시내 관광을 할때도 뭐가 뭔지 눈에 잘 들어오지도 않았다.
▶김희조씨(73.여)=일단은 안타깝고 가슴이 아프지만 할 수 없지 않나. 사실은 지금도 소리내어 울고 싶은 심정이지만 담담해지려고 한다. 평양의 숙소에서 밤에 혼자 많이 울었다.
동생이 죽었으면 조카들이라도 있었을 텐데 이번에 만난 사촌동생이 조카들의 소식도 모르는 것이 이해가 안되고 가슴아프다.
고향의 소식도 제대로 듣지 못한 것이 원통하다. 그래도 북한땅을 밟아봤다는 것이 좋고 기쁘다.
▶장이윤씨(72)=돌아가신 어머님 묘소에 참배라도 하기를 바랐는데, 그것조차 못한게 무엇보다 아쉽다. 고향땅을 밟지는 못했지만 평양땅이라도 밟아서 그나마 위로가 됐다.
이미 72세에 돌아가신 어머님을 109세가 될때까지 살아계시다고 했으니 나를 두번 울렸다.
▶김금자씨(69.여)=친오빠를 만나러 갔는데 오빠는 죽었고 사촌언니 2명만 만났다. 오빠가 없어서 못내 아쉬웠다. 북한을 방문할 기회가 다시 주어진다고 해도 오빠가 없는 그 곳에는 가고싶지 않다. 허리가 좋지 않아 휠체어를 타고 갔는데 오빠도 없고 해서 거의 매일 방에서 누워서만 보냈다.
▶최성록씨(79)=북에 두고온 아내에게 만나자마자 '고맙다'는 말을 먼저 했고 자식들이 해준 금반지를 끼워주면서 다시 한번 결혼하는 기분을 느꼈다. 헤어질때 건강하게 서로 다음에 다시 만나자고 약속했다.
떠나오는 심정은 착잡했으나 김포공항에 도착하고 보니 내가 살던 곳으로 와서 그런지 지금은 마음이 편안하다. 서로 건강한 모습으로 다시 한번 만나는 것이 소원인데 다음에는 숙소를 정해 만나지 말고 집까지 찾아가서 직접 만나고 싶다.
▶김장녀씨(78.여)=딸을 만났는데 그 딸이 자식을 낳고 잘 산다는 말을 들었으니 지금 죽어도 편안히 눈을 감을 수 있을 것 같다.
평양에서 있었던 3박4일이 왜그리 빨리 지났는지 모르겠다. 평양에서 시간이 더디 갔으면 얘기라도 한마디 더했을 텐데 아쉽다.
▶장두현씨(74)=동생 2명과 조카 2명을 만났는데 그동안 생활이 어려웠던지 많이 야위었다. 동생들이 전해준 사진을 통해 고향을 봤는데 고향이 무척이나 많이 변해 생소했고 이번에 고향을 방문하지 못해 비통한 심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